수주 절벽을 넘어 업황 개선세를 탄 조선업이 고용 시장에도 훈풍을 불어넣기 시작했다. 정부는 내년 8000여명의 신규 인력을 양성하겠다고 밝혔다. 또 수소연료선박 등 탄소 배출이 없는 선박과 자율주행선박 기술 개발에 나서는 등 세계 조선업 1위 답게 미래 먹거리를 선점하겠다는 전략도 수립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9일 삼성중공업 거제조선소에서 열린 'K-조선 비전 및 상생협력 선포식'에서 "정부의 목표는 친환경화ㆍ스마트화의 강점을 살려 '흔들리지 않는 세계 1등 조선 강국'을 굳히면서 동시에 세계의 탄소중립에 기여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정부는 기업과 함께 새로운 패러다임에 적극 대응하겠다. 새로운 기술과 사람에 대한 투자를 늘리고, 지속가능한 산업 생태계를 구축할 것이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날 인력 확충 및 중장기 발전 방안을 담은 'K-조선 재도약 전략'을 발표했다. 세계 선박 발주량은 지난해 코로나19로 침체했다가 올 들어 회복세를 기록 중이다. 수주량 기준 세계 1위를 탈환한 한국 조선업계의 독주가 눈에 띈다. 지난 1~7월 전 세계 선박 발주량의 42.5%를 쓸어 담으며 2008년 이후 13년만에 최대 수주량을 기록했다.
당장에는 예고된 인력난 해결이 시급하다는 판단이다. 수조 선박 설계·건조 과정에 대규모 인력 수요가 발생하면서 구조조정 칼바람이 불던 몇 년 전과 상황이 180도 달라졌다. 조선협회에 따르면 내년 인력 수요는 올해보다 2만5270명 늘어난다. 이에 산업부는 실직 숙련공 재고용과 신규 인력 창출 등의 대응책을 가동하기로 했다. 실직 숙련공 재고용 시 1인 당 월 30만~50만원을 최대 8개월간 지급한다. 신규 인력은 8124명을 양성할 계획이다. 122억원을 들여 2660명의 생산기술 인력을 양성해 채용 수요에 대응하는 등 분야별 맞춤형 인력 양성 예산을 마련했다. 신규 채용 인력에 대해 월 최대 200만원 인센티브를 지급해 교육 이후 취업까지 지원을 이어가기로 했다. 중장기적으로는 민관 공동 인력양성 로드맵을 마련할 계획이다.
2030년 이후 탄소 배출 제로 선박 상용화가 전망되는 만큼 관련 기술 개발에 힘을 쏟기로 했다. 2031년까지 2540억원의 연구개발(R&D)비를 투입해 수소연료선박 등을 개발할 계획이다. 자율주행선박 기술 개발에도 2025년까지 1603억원을 할애, 2030년에 전 세계 자율주행선박 시장 점유율을 50%까지 끌어올린다는 목표치를 제시했다.
세종=신준섭 기자 sman32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