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의 역사 부정과 왜곡이 갈수록 가관이다. 앞으로 일본 교과서에선 ‘종군위안부’나 ‘강제 연행’이란 단어를 볼 수 없게 된다. 문부과학성이 5개 교과서 발행회사의 해당 용어 삭제 및 변경 신청을 승인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종군위안부는 ‘위안부’로, 강제 연행은 ‘징용’으로 용어가 바뀐다. 이 같은 용어 변경은 위안부 문제로 오해를 살 우려가 있다는 일본 각의 결정에 따른 것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과거 종군위안부라고 쓰기도 했으나 현재 일본군위안부란 표현을 사용한다. 종군이 자발적으로 군을 따랐다는 뜻으로 해석될 여지가 있어서다. 얼핏 일본이 우리 측 입장을 배려하는 것으로 비칠 수 있으나 일본 정부가 사용하려는 위안부 용어에는 피해 여성들이 강압 없이 자발적으로 참여했다는 뜻을 내포하고 있다고 한다. 교묘한 말장난으로 역사의 치부를 감추려는 얄팍한 술수다.
김학순 할머니의 첫 고발 이후 일제가 일본군위안부에게 자행한 야만의 증거는 일일이 헤아리기 힘들다. 그럼에도 강제성은 없었다는 게 일본 우익의 한결같은 궤변이다. 한·일 관계가 지금처럼 악화된 근본 원인도 여기에 있다. 이를 모를 리 없는 일본 정부가 또다시 교과서 왜곡에 나선 것은 양국관계를 개선할 의사가 없음은 물론 우리에게 해볼 테면 해보라는 도발이다.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하시마 등 조선인 강제노역 시설에 희생자를 기리기 위한 후속 조치를 제대로 이행하라는 유네스코 권고도 무시하는 일본 정부다. 이런 일본 정부에 선의를 기대하는 건 나무에서 물고기 찾기다. 가짜 역사를 배우고 자란 일본 학생들은 일제시대를 어떻게 평가할까. 한·일 관계의 미래가 암울하다. 그나마 김 할머니 증언 30주년을 맞아 ‘위안부 상처 치유, 피해 당사자 결정에 맡겨야 한다’는 취지의 사설을 게재한 아사히신문에서 일본의 양심이 살아있음을 느낀다.
[사설] 일본의 역사·교과서 왜곡, 대체 끝이 어딘가
입력 2021-09-10 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