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거주자의 지역 내 출근시간은 평균 44.7분이다. 경기도에서 서울로의 출근은 평균 72.1분, 서울에서 타 시도로 출근하면 65.4분이 걸린다. 평균 출근거리가 비슷해도 강남 직장인이 서대문 직장인보다 출근시간이 10분 짧았다.
서울시는 1분 단위로 수집되는 통신·교통 빅데이터를 융합해 ‘서울 생활이동’ 데이터를 개발하고, 이를 분석한 결과를 8일 발표했다.
서울 생활이동 데이터는 서울 내부, 서울→서울 밖, 서울 밖→서울로 이동하는 모든 인구이동을 집계한 데이터다. 출퇴근과 등하교, 쇼핑·여가활동 등 행정수요를 유발하는 모든 이동이 대상이며 시간·성별·연령별 등 인구 특성을 포괄한다.
서울시의 대중교통 이용 데이터와 인구·사업체 센서스 등 행정 빅데이터, KT의 휴대전화 LTE+5G 시그널 데이터, 한국교통연구원의 기종점 통행량 데이터를 융합 분석했다.
분석결과 서울을 오가는 출근 등교 이동 중 서울 내부 이동이 전체 69.2%, 서울-수도권 간 이동은 30.4%였다. 평균 출근 등교 거리가 비슷해도 거주지역에 따라 소요시간이 달랐다. 강남구 역삼2동과 서대문구 홍은2동 거주자의 평균 출근 등교 거리는 6.6㎞로 동일했지만, 출근 등교에 소요되는 시간은 각각 40분과 53분으로 강남이 더 짧았다.
통근 통학하는 20~30대 청년인구가 가장 많이 거주하는 행정동은 강남구 역삼1동, 관악구 청룡동, 영등포구 영등포동, 관악구 신림동, 강서구 화곡1동 순이었다. 서울시는 향후 청년주택 신규 입지 선정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코로나19 전후 이동변화도 분석했다. 2020년 1월~2021년 7월 서울의 하루 평균 이동량은 1867만건으로, 코로나 발생 직전(2019년 11~12월) 일평균 2275만건보다 18% 감소했다. 특히 유행 시기마다 이동량은 크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3차 유행시기는 코로나 직전 대비 29.9% 감소했다.
연령대별로는 25세 미만 어린이·청년 인구의 이동량이 코로나19 전후로 55.8% 감소해 가장 큰 폭이었다. 25~64세 인구는 28.1%, 65세 이상 인구는 26.2% 감소했다.
성별로는 3차 유행 시기의 주중 이동량이 코로나 이전 대비 여성은 36.7%, 남성은 28.8 감소해 여성의 이동 감소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생활이동 데이터를 ‘서울시 열린데이터광장’에 공개하고 매달 업데이트해 시민·학생·기업 등 누구나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게 할 계획이다.
권중혁 기자 gree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