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의 여권 인사 고발 사주 의혹의 중심에 서 있는 김웅(사진) 국민의힘 의원이 ‘오락가락 해명’으로 오히려 혼란을 부추기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대선 정국에서 극도로 민감한 사안을 놓고 김 의원의 ‘말 바꾸기’ 해명이 오히려 사태를 일파만파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김 의원에게 대선 캠프 대변인을 맡긴 유승민 전 의원까지 나서 ‘정직한 해명’을 촉구했다.
김 의원은 8일 오전 국회에서 의혹을 소명하기 위한 기자회견을 연다. 그가 내놓을 해명에 따라 이번 고발 사주 의혹이 새로운 국면을 맞을 것으로 전망된다.
김 의원은 이번 의혹을 폭로한 인터넷매체 뉴스버스의 첫 보도가 나온 2일 “당시 의원실에 수많은 제보가 있었고, 제보받은 자료는 당연히 당 법률지원단에 전달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는 당 차원에서 문제의 문건이 공식 접수된 바 없다는 상반된 입장을 내놨다.
김 의원은 또 뉴스버스에 “검찰 측 입장에서 고발장이 들어왔던 것 같다”고 밝혔다가, 지난 6일 일부 언론에 “최강욱 의원 고발장은 내가 만들었다”고 말해 논란을 증폭시켰다. 그러다 7일에는 “고발장을 쓰지 않았다”고 말을 또 바꿨다. 이어 “정말 기억이 안 나지만 (고발장 등을 전달받은 것이) 다 사실일 수 있다”고 밝히면서도, 동시에 이번 의혹이 조작됐을 가능성을 거론했다.
지난해 4·15 총선을 앞둔 시점에 발생한 일인 만큼 정확한 기억을 살리기는 어렵지만, 김 의원의 해명은 이해하기 어렵다는 목소리도 있다. 김태흠 의원은 이날 “김 의원의 모호한 처신은 의심만 증폭해 여권의 공작에 먹잇감을 제공했다는 면에서 엄청난 해당 행위”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 의원 스스로 자신에 대한 신뢰를 깎아 먹고 있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한 국민의힘 의원은 “언론 통화마다 김 의원 말이 달라져 신뢰성이 점점 떨어지고 있다”고 했다. 김 의원을 정치권으로 이끈 유승민 전 의원도 “김 의원에게 ‘정치를 하면서 최선의 대응 방법은 정직이다. 모든 걸 있는 그대로 사실대로 이야기하라’고 했다”고 전했다.
여권은 ‘국기문란’ 행위로 규정하고 윤석열 전 검찰총장을 겨냥한 공격 수위를 연일 높이고 있다. 총선 이후 당대표에서 물러난 뒤 잠행을 이어오던 이해찬 대표까지 공개석상에 등판해 “민주주의 체제를 교란하는 행위”라며 공세에 힘을 실었다. 이 대표는 이례적으로 TBS 라디오에 출연해 “이것은 선거개입 수준이 아니라 국기문란 행위”라고 비판했다.
민주당은 이번 고발 사주 의혹이 윤 전 총장을 ‘녹다운’시키는 결정적 계기로 작용하기를 기대하는 분위기다. 윤 전 총장의 ‘공정’ 키워드와 중도 외연 확장성을 물거품으로 만들 만들 수 있는 성격의 사건이기 때문이다.
윤 전 총장 측은 민주당의 공세에 대한 강경 대응에 나섰다. 김병민 캠프 대변인은 “사실관계도 입증하지 않고 가짜뉴스만 가지고 윤 후보를 공격하는 것이야말로 정치공작”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상헌 이가현 기자 kmpaper@kmib.co.kr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