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국민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고발장·판결문 전달자로 지목된 김웅 국민의힘 의원은 지난해 4월 선대위에 있던 A씨에게 텔레그램 메신저로 자료를 전송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의원은 언론 인터뷰에서 “제보자가 누군지 안다. 그 당시 내가 (당과) 소통했던 사람은 한 사람밖에 없다”고 했다. 다만 김 의원이 자료를 전송한 이와 언론 제보자가 다른 인물일 가능성도 있다.
당시 선대위 핵심 관계자는 “A씨는 외부에서 왔는데, 어디서 정보를 잘 듣고 왔다”며 “김 의원이 검사 출신이라 그런 일들 처리를 위해서 A씨가 김 의원에게 자문도 받고 자주 접촉했다”고 말했다.
A씨는 지난해 총선을 앞두고 미래통합당 선대위에 합류했다. 김 의원은 지난해 2월 새로운보수당에 입당했으며, 새로운보수당이 자유한국당과 통합된 이후 미래통합당에서 공천을 받았다. 공개된 텔레그램을 보면 제보자는 김 의원을 ‘김웅 부장검사(법무연수원)’으로 저장해 뒀다.
김 의원은 제보자와 관련해 “업무상 알게 된 사람이고, 왜 제보를 했는지 짐작이 간다”고 했다. 또 “윤석열·유승민을 모두 잡으려는 것” “그 사람이 밝혀지는 순간 어떤 세력인지 알게 된다” 등의 언급도 했다. A씨는 소셜미디어에 윤석열 전 검찰총장을 거세게 비난하는 글을 올려왔다.
A씨는 국민일보 통화에서 “보도된 문건은 본 적이 없다”고 말했다. 그는 “제가 어느 대선 캠프에도 속해 있지 않다 보니 저한테 덮어씌우려는 것 같다”며 “어떻게 보면 국기문란 사건인데 사건 자체에 집중해야지 제보자를 색출한다고 해결될 문제가 아니지 않나”고 강조했다. 또 “배후세력 타령하는 것을 보면 정신 나갔나 싶기도 하다”고 했다. 김 의원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총선 때 (업무상) 율사가 필요해서 김 의원과 교류했지만, 이후로는 전혀 접촉이 없었다”고 설명했다.
현재 제보자가 김 의원에게 자료를 전송받은 이후 어떤 ‘액션’을 취했는지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국민의힘은 고발장이 당 공식기구에 접수된 바 없다고 밝힌 상태다. 김 의원이 자료를 보낸 취지는 무엇인지, 파일에 명기된 ‘손준성 보냄’ 등에 대한 추가 설명은 있었는지 등은 의혹 실체 규명을 위한 주요한 축이다.
의혹을 첫 보도한 인터넷매체 뉴스버스는 제보자가 지난 6일 문제의 고발장 등을 공익 신고해 법적인 공익신고자 신분이 됐다고 보도했다. 국민의힘 안팎에서 제보자 공개를 압박하는 목소리가 나오자 대응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김 의원은 8일 기자회견을 열어 입장을 밝히겠다고 예고했다.
이상헌 강보현 기자 kmpaper@kmib.co.kr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