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선택 방지’ 조항 빼고 1차 경선에 당원 투표 20% 넣는다

입력 2021-09-06 04:03
윤석열(왼쪽) 전 검찰총장이 5일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당사에서 열린 공정경선 서약식 및 후보자 간담회에서 눈을 감고 다른 참석자 발언을 듣고 있다. 오른쪽은 정홍원 당 경선 선거관리위원장. 연합뉴스

국민의힘 대선 경선 선거관리위원회가 5일 극심한 진통 끝에 ‘역선택 방지’ 조항을 넣지 않기로 결정했다. 대신 경선 여론조사에 당원 투표를 넣는 식으로 절충점을 찾았다. 윤석열 전 검찰총장을 제외한 대부분의 후보들이 조항 도입에 거세게 반발하는 상황을 고려한 결과다. 국민의힘 경선 버스는 경선 룰 파열음으로 일부 후보들의 당 행사 보이콧 선언과 선거관리위원장 사퇴 표명·번복이라는 우여곡절 끝에 어렵사리 출발하게 됐다.

정홍원 선관위원장은 이날 역선택 방지 조항 도입 문제를 두고 8시간가량 논의한 끝에 이같이 결정했다고 밝혔다. 특히 정 위원장은 “만장일치 의견합치를 봤다”고 강조했다.

우선 선관위는 다수 후보들이 요구한 대로 경선에서 역선택 방지 조항을 넣지 않기로 결정했다. 다만 100% 국민 여론조사로 진행하기로 한 1차 컷오프에서 여론조사 80%에 당원투표 20% 기준을 적용키로 했다.

오는 11월 최종 후보를 선출하는 본경선 투표에서는 ‘당원투표 50%+여론조사 50%’ 비율을 유지하되 여론조사에서 ‘본선 경쟁력’을 측정키로 했다. 본선 경쟁력은 여권 유력 후보와의 양자대결 조사로 측정한다는 계획이다. 다만 정 위원장은 “문항 내용은 공개할 수 없다”며 말을 아꼈다.

본격적인 경선에 앞서 최대 뇌관으로 떠올랐던 역선택 방지 조항 도입 논의가 일단락되면서 “일단 파국은 피했다”는 평가가 당 안팎에서 나온다.

연합뉴스

선관위 회의에 앞서 열린 공정경선 서약식에서 이준석 대표는 “우리 경선 서막을 알리는 공정선거 서약 자리에 빠진 자리들이 있는 것 같아 당대표로서 매우 유감”이라고 밝혔다. 전날 밤 역선택 방지 조항 도입 중단을 요구하는 내용의 공동성명을 발표하며 서약식에 불참한 홍준표 유승민 하태경 안상수 후보를 겨냥한 것이다. 특히 이 대표는 “정 위원장은 지도부의 무한한 신임과 지지를 받고 있다. 다소 이견이 있더라도 성숙한 방식으로 의사를 표현해야 한다”며 정 위원장을 지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정 위원장도 “선관위가 사심 없이 정한 룰에 협력해야지 따르지 않겠다는 태도는 가장 바람직 못한 태도”라며 “일방적으로 누구를 유리하게 한다는 선입견을 전혀 갖지 말고 저희를 이해해 달라”고 요청했다. ‘정 위원장이 역선택 방지 조항 도입으로 윤석열 전 검찰총장 편을 들고 있다’는 일부 대선 주자들의 주장을 정면으로 반박한 것이다.

서약식이 열리기 20여분 전에는 정 위원장의 사퇴설이 돌기도 했다. 정 위원장은 관련 질문에 “제가 고민하는 모습을 보고 아마(그런 보도가 나간 것 아닌가)”라고 답했다. 정 위원장은 이 대표에게 사의를 표했으나 이 대표의 만류로 위원장직을 계속하기로 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대표도 “정 위원장이 사임을 심각하게 고민한 건 맞는다”며 “제가 만류했고 정 위원장도 지도부의 신뢰가 굳건한 것을 알고 있다”고 설명했다.

손재호 강보현 기자 say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