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도 넘은 국민의힘 경선 잡음, 이러고도 국민 지지 바라나

입력 2021-09-06 04:05
국민의힘 대선 경선 파열음이 도를 넘어서고 있다. 경선을 치르겠다는 건지, 내부 싸움으로 허송세월하겠다는 건지 헷갈릴 정도다. 급기야 5일에는 정홍원 당 선거관리위원장이 사의를 표명했다 번복하는 일이 빚어졌다. 정 위원장은 경선 여론조사에 역선택 방지 조항 도입 여부를 놓고 홍준표 의원, 유승민 전 의원 등 주자 4명이 집단반발하자 이준석 대표에게 사의를 표명했다고 한다. 하지만 이후 지도부가 만류하자 사의를 거둬들였다. 이날 열린 공정 경선 서약식도 4인의 불참으로 반쪽자리 행사로 치러졌다. 선거 관리 책임자와 대선 주자들 간의 내홍도 볼썽사납지만, 임명 열흘 만에 선관위원장 자리를 집어던지려 한 것도 꼴불견이긴 마찬가지다. 여당은 지금 지역 경선으로 흥행몰이가 한창인데, 정작 정권교체를 하겠다는 제1야당은 하루가 멀다 하고 내분만 일으키고 있으니 한심한 노릇이다.

국민의힘 경선 불협화음은 어제 일이 처음이 아니다. 선관위 출범에 앞서 지난달 당 경선준비위원회가 정책토론회를 열려 하자 윤석열 전 검찰총장 등이 반대해 결국 불발됐다. 이에 서병수 경준위원장이 지난달 20일 “자괴감을 느낀다”며 사퇴했다. 토론회 대신 열린 비전발표회를 두고선 홍 의원 등이 “초등학교 학예회 같다”고 반발했다. 지난달 초엔 당대표 주도로 대선 주자 자원봉사 행사를 열었으나 유력 주자 다수가 불참해 하나 마나 한 행사가 돼버렸다. 주자들 간 반목과 선거 관리 공정성 시비로 한 달 넘도록 귀중한 시간을 허비한 것이다.

국민의힘이 진정 정권교체를 바란다면 ‘내부 총질’을 멈추고 경선 갈등을 속히 봉합해야 할 것이다. 주자들부터 대의를 위해 경선룰 등에 있어 양보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당대표나 선관위원장도 더는 공정성 시비에 휘말려선 안 된다. 그렇지 않아도 어느어느 후보와 가깝네, 누구누구에 유리한 룰을 만드네 하는 의구심이 제기됐으면 더더욱 공정성에 만전을 기해야 마땅하다. 국민의힘이 질서 있고 공정한 경선을 치르지 않는다면 그 누가 이겨도 본선에서 유권자들의 선택을 받기 어려울 것이다. 이미 레드 카드를 만지작거리고 있는 국민이 적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