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지원금 정부·카드사 사칭 ‘스미싱’ 범죄 주의하세요

입력 2021-09-06 04:06

코로나 상생 국민지원금 신청·지급 시기와 맞물려 정부·카드사를 사칭한 ‘스미싱’ 범죄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돼 정부가 주의를 당부했다. 행정안전부는 5일 국민지원금 지급대상·금액 안내, 카드 사용 승인, 지원금 충전 등의 내용으로 정부·카드사를 사칭한 스미싱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스미싱(smishing)은 문자메시지로 정부기관이나 거래처, 지인 등을 사칭해 ‘국민지원금 신청’ ‘무료쿠폰 제공’ ‘돌잔치 초대’ 등의 내용으로 악성 인터넷주소를 첨부해 스마트폰 이용자에게 보내고, 이를 클릭하면 악성코드가 스마트폰에 자동 설치돼 피해자가 모르는 사이에 소액결제나 개인·금융정보를 탈취하는 사기수법이다.

스미싱 문자 예시. 행정안전부 제공

행안부는 “스미싱 피해 예방을 위해 국민비서 사전 알림서비스를 적극 활용하길 권한다”며 “국민비서·카드사 외에 출처가 불분명한 안내문자를 받거나 정부·카드사를 사칭한 의심스러운 인터넷주소가 포함된 문자를 받으면 클릭하지 말고 바로 삭제하고, 문자를 열람했다면 문자 내 인터넷주소(URL) 클릭에 신중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스미싱이 의심되는 문자를 받은 경우 한국인터넷진흥원 118상담센터(국번없이 118)에서 상담받을 수 있다.

아울러 정부는 스미싱 경각심을 높이기 위해 국민지원금 신청이 시작되는 6일부터 각 통신사 명의로 스미싱 피해예방 문자를 순차 발송하는 등 다양한 창구를 활용할 계획이다. 24시간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피해 신고·접수된 스미싱 정보를 분석해 악성앱 유포자를 즉시 차단하는 등 이용자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총력을 다한다는 방침이다.

권중혁 기자 gree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