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 환경보건계획 수립 착수

입력 2021-09-06 04:07

충북 청주시 청원구 북이면 일대에는 1999년, 2001년, 2010년 차례로 소각시설이 조성됐다. 3개 시설의 하루 총 소각용량은 1999년 15t에서 2017년 543.84t으로 36배 증가했다. 막대한 양의 폐기물이 태워지는 사이 병을 얻는 주민들이 늘어갔다. 최근 10년 새 인근 주민 60명이 암(폐암 31명)으로 숨지고, 호흡기·기관지 질환자 45명이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

주민 청원에 따라 건강영향조사를 실시한 환경부는 지난 5월 “소각시설과 암 발생과의 역학적 관련성을 명확하게 입증하기 어렵다”는 결론을 내놨다. 이후 북이면 주민과 환경단체, 청주시의회의 재조사 요구를 받아들여 오는 9월부터 5년간 추가 보완조사를 벌이기로 했다. 주민들의 고통을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다.

충북도는 폐기물 소각장 난립으로 주민건강을 위협하는 청주 북이면과 같은 상황이 재발하지 않도록 2023~2027년 적용할 환경보건계획을 수립한다고 5일 밝혔다. 이를 위해 환경보건계획 수립 연구용역을 추진한다.

도는 연구용역을 통해 도내 환경보건시설 현황을 파악하고, 발생하는 피해와 문제점을 진단할 계획이다. 환경유해인자가 주민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질환의 발생 현황, 유해물질 노출 실태, 화학물질·석면관리, 산업단지 내 오염배출 시설, 생활환경 오염물질 현황 등도 조사한다.

도 관계자는 “현재 입법예고 중인 환경보건 조례를 연내에 제정하고, 조사 결과를 도민에게 알리겠다”며 “환경성 질환의 사전예방과 생활환경 유해 요인에 대한 관리 정책을 통해 도민의 안전을 지키도록 최선을 다 하겠다”고 말했다.

청주=홍성헌 기자 adh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