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대권주자인 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3일 ‘고발 사주 의혹’에 직접 반박하면서 정면돌파 의지를 밝혔다. 여권은 ‘윤석열 게이트’로 규정하며 이틀째 파상공세를 이어갔고, 야권의 대선 경쟁자들도 윤 전 총장을 압박했다.
윤 전 총장은 서울 종로구 한국기독교회관 방문 후 기자들과 만나 “있으면 (증거를) 대라는 것”이라며 “고발을 사주한다는 것 자체가 상식에 맞지 않는다”고 의혹을 일축했다. 이어 ‘채널A 사건’을 거론하며 “‘검언유착’으로 해서 총선을 앞두고 그렇게 하더니 1년 넘게 재판을 해서 드러난 게 무엇인가. 선거를 위한 정치공작으로 드러나지 않았는가”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 “조사해서 저의 무관함이 밝혀지면 이 문제를 갖고 제 책임을 운운한 정치인들은 물러났으면 좋겠다”고 역공을 가했다.
친정인 검찰에도 불쾌감을 드러냈다. 그는 김오수 검찰총장이 진상조사를 지시한 것과 관련해 “국민이 바라는 고발은 고발장이든 고소장이든 아무리 들어와도 캐비닛에 넣어놓고, 정치공작에 나서는 일은 최우선으로 하는 걸 보니까 제가 몸담았던 조직이지만 안쓰럽다”고 했다.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의원들은 기자회견을 열고 윤 전 총장 측에 힘을 보탰다. 국민의힘 법사위원들은 “여권의 저급한 정치공작이 또 다시 부활했다. 황당무계한 가짜뉴스”라고 주장했다.
여당의 요구에 따라 법사위는 6일 오후 윤 전 검찰총장의 고발 사주 의혹 관련 긴급 현안질의를 진행키로 했다. 법사위 소속 권성동 국민의힘 의원은 “언론에 일방적인 보도가 되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우리도 가서 우리 목소리를 낼 것”이라고 말했다.
여권은 전날에 이어 맹공을 펼쳤다. 송영길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최고위원회의에서 “희대의 국기문란이자 윤석열 게이트”라고 규정했고, 윤호중 원내대표는 “전두환씨의 신군부 하나회와 비교할 만한 사건”이라고 했다. 이재명 경기지사는 “사실이라면 윤석열 검찰의 중대한 헌법 파괴, 국기문란 사건”이라며 “민주개혁진영의 공동대응을 제안한다”고 말했다.
야권 주자들도 윤 전 총장을 조준했다. 유승민 전 의원은 “사실이라면 검찰총장이 모르는 상태에서 검찰 중간 간부가 그렇게 할 수 있었겠나 싶은 생각”이라며 “총장 시절에 알고 있었는지, 지시했는지 진위에 대해 윤 전 총장 본인이 명쾌하게 밝히면 될 문제”라고 주장했다. 최재형 전 감사원장도 “윤 전 총장이 고발하도록 지시하거나 묵인했다면 이는 검찰의 정치적 중립성을 심각하게 훼손한 것”이라며 “설사 몰랐다 하더라도 지휘 책임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고 했다.
국민의힘은 진상규명을 위한 당무감사에 착수할 것으로 보인다.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는 관훈토론회에서 “당무감사를 진행할 수 있다. 김웅 의원 본인이 문건을 이첩 받았는지 불확실하게 답변하고 있는데, 그런 부분도 당무감사에서 파악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윤석열 캠프는 바른정당 대표와 국회 정보위원장 등을 역임한 이혜훈 전 의원이 캠프 국가미래전략특별위원장으로 합류했다고 밝혔다.
최승욱 기자 apples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