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 평생 이런 큰 물난리는 처음입니더, 죽장면이 생긴 이래 가장 심합니더.”
경북 포항시 북구 죽장면 지동리 마을은 2일에도 제12호 태풍 ‘오마이스’의 상처를 아직 치유하지 못하고 있었다. 마을 곳곳에는 침수된 가전제품과 살림살이가 산을 이뤘고, 과수원에는 아직 치우지 못한 돌과 자갈들이 마치 ‘돌무덤’처럼 쌓여 있었다.
지난달 24일 3시간 동안 쏟아진 129㎜의 물폭탄은 모든 것을 앗아갔다. 범람한 강과 계곡물이 집과 과수원 도로 등을 돌과 자갈 진흙으로 덮어버렸다. 덤프트럭과 굴삭기가 1주일 내내 쉴새 없이 퍼 날라도 큰 진척이 보이지 않고 있다. 태풍은 지나갔지만 가을장마로 계속 비가 내리면서 장비와 복구 인력이 손을 쓸 시간마저 부족해 복구는 더디기만 했다.
주택이 전파된 한 주민은 대구에 사는 언니와 아들 집을 전전하고 있다고 전했다. 경운기 등 농기계가 침수된 농민들은 부담스러운 비용 때문에 수리를 하지 못해 가을 농번기를 앞두고 발을 동동 구르고 있다.
죽장면은 사과 주산지로 유명한 지역이다. 하지만 과수원마다 돌들이 가득 차 있었다. 돌과 자갈이 50㎝가량 쌓였다. 마을 진입로와 농로가 매우 좁고 비탈 또한 심해 대형 중장비가 들어갈 수 없어 돌 치우는 것을 엄두조차 못내고 있다. 거센 물살에 쓸려 나간 입암2교와 전기·통신은 그나마 응급 복구됐지만, 시내에서 차를 달려도 40~50분이 걸리는 최고 오지 지역인 죽장면 첩첩산중 산골마을은 복구의 손길조차 닿지 않고 있었다.
죽장면 지역의 예상 복구비용은 공공시설을 포함해 2385억원에 달한다. 앞으로 조사가 진행되면 규모는 눈덩이처럼 더욱 늘 것으로 보인다. 죽장면 지역의 특별재난지역 조기 선포가 시급하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추석 명절이 코앞인데다 가을장마 비가 계속 내리고 있어 아직도 집으로 돌아가지 못한 주민이 많아 가슴이 찢어진다”며 “한시 빨리 주민들이 일상생활로 복귀할 수 있도록 정부의 조속한 지원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포항=글·사진 안창한 기자 chang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