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시 ‘태풍 피해’ 복구율 절반에 그쳐, 예산도 바닥… 특별재난지역 건의 추진

입력 2021-09-01 04:06

제12호 태풍 ‘오마이스’로 큰 피해를 입은 경북 포항시가 피해복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민·관·군을 총동원해 피해복구에 힘을 쏟고 있지만 여력이 부족해 정부에 특별재난지역 선포를 건의할 계획이다.

시에 따르면 지난달 24일 포항을 강타한 태풍 ‘오마이스’의 여파로 1056건 64억3000여만원의 피해가 발생했다. 30일 기준 잠정 집계 결과 도로 교량 하천 등 공공시설이 198건 51억9000여만원, 주택 농경지 침수 등 사유시설은 858건 12억4000여만원의 피해를 입었다.

당시 3시간 만에 129㎜의 기록적인 폭우가 내린 북구 죽장면에 피해가 집중됐다. 주택 118채가 파손되거나 물에 잠겨 이재민 119세대 233명 발생, 농경지 19.5㏊ 침수, 도로 유실 등으로 피해액은 45억6000여만원, 피해면적은 235.74㎢에 달한다. 죽장면의 한 피해 주민은 “하천이 범람해 곳곳의 지형이 바뀔 정도로 심각하다”고 말했다.

자호천 가사천 현내천 등 지방하천 복구비만 1000억원이 넘는 것으로 추산한다.

하지만 지금까지 응급복구가 이뤄진 곳은 공공시설 105곳, 사유시설 497곳으로 전체 복구율은 54%에 불과하다.

코로나19와 지진피해 지원 등으로 포항시의 예비비와 재난관리기금은 바닥난 상태다. 이에 시는 특별재난지역 지정과 함께 특별교부세 긴급 지원, 국도·국지도 우선 복구 지원 등을 정부에 요청할 계획이다.

죽장면의 경우 피해액이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 시행령에 따른 우심피해지역(30억원) 및 특별재난지역(읍면동 7.5억원) 선포요건을 충족한다.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되면 공공시설 피해복구에 국비가 최대 80%까지 지원된다. 피해 주민에게는 건강보험료 통신 전기 도시가스 비용이 1개월 감면된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민·관·군이 합심해 피해복구에 나서고 있지만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피해 규모가 크다”면서 “신속하고 항구적인 피해복구를 위해 특별재난지역 선포 등 정부의 지원이 절실하다”고 밝혔다.

포항=안창한 기자 chang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