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교도소 신축 예정지 마을 주민들이 옮겨 갈 이주단지의 토지 소유주들이 사업 중단을 촉구하고 나섰다. 6년간의 표류 끝에 속도를 내던 전주교도소 이전 사업에 진통이 예상된다.
전주시 평화동 작지마을 이주단지 토지 소유주들은 지난 30일 전주시청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교도소 때문에 재산권 행사를 못하다가 이제야 희망을 가졌는데, 물거품이 됐다”며 “일방적인 이주단지 조성사업은 절대 불가하며 즉각 사업을 중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지난 7월 5일 주민 의견청취 공고 안내문을 받고서야 이주단지 조성사업 내용을 알게 됐다”면서 “작지마을 주민들에게는 5년에 걸쳐 의견을 충분히 수렴했으면서도 우리 토지주들에게는 지금까지 말 한마디 없었다”고 강조했다. 또 “앞으로 감정평가를 통해 토지 보상을 하면 그만이라는 행태를 도저히 용납할 수 없다”며 “땅을 내놓을 생각도 없을 뿐더러 모든 것을 원 상태로 돌려놓지 않으면 법적 대응을 강구하겠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전주시는 지난 5월 이주 후보지 선정 결정 이후 6월 열람공고 및 주민설명회, 7월 ‘이주단지 조성계획 및 주민 의견청취 공고’ 등 행정절차를 이행했다면서 “앞으로 소유주들과 시간을 두고 충분한 협의를 하겠다”고 해명했다.
작지마을 주민들의 이주단지는 500m쯤 떨어진 문정마을로, 현 교도소 건너편이다. 논과 임야 등 2만여㎡에 이르며 소유주는 20여명이다.
전주시는 지난 2월 작지마을 주민들과 내년 6월까지 보상을 완료하기로 하고 이주사업에 속도를 내 왔다.
신축 교도소는 부지 19만5000㎡, 건축면적 3만180㎡, 수용인원 1500명 규모로 지어진다. 1500억원을 투입, 2023년 말 완공될 예정이다. 전주시가 2002년 법무부에 교도소 이전·신축을 건의한 지 21년, 2015년 사업을 시작한 지 8년만에 마무리된다.
현 전주교도소는 1972년 평화동에 건립됐으나 도시 확장으로 인근 지역 주거환경 저해, 서남권 도시개발 장애요인 등의 문제에 부딪혀 이전 필요성이 제기돼 왔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