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승범(사진) 신임 금융위원장은 31일 “당장은 인기가 없더라도 가계부채 등 당면한 핵심 현안에 선제적으로 대비하겠다”고 밝혔다. 또 추석 전에 소상공인 대출 만기 연장 등과 관련한 대책을 내놓겠다고 덧붙였다.
고 위원장은 이날 서울 종로구 서울정부청사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급증한 가계부채 정리, 가상자산(암호화폐) 문제 대응, 취약계층 금융지원을 세 가지 당면 현안으로 지목하고 “모든 정책적 역량을 동원하겠다”며 이같이 강조했다.
고 위원장은 우선 코로나19 사태 이후 크게 늘어난 가계부채가 거시경제나 금융시장 안정을 훼손하지 않도록 철저히 관리하겠다고 다짐했다. 고 위원장은 “1997년 외환위기, 2003년 신용카드 대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등 크고 작은 금융위기 이면에는 과도한 부채 누적이 자리 잡고 있었다”며 “이 고리를 끊어내는 데 모든 수단을 동원하고 정책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강조했다.
고 위원장은 이어 “레버리지를 활용한 자산가격 상승과 민간신용 확대를 뒷받침해 온 금융환경은 앞으로 더 이상 가능하지 않을 것”이라며 “꼭 필요한 곳에 꼭 필요한 만큼의 자금만 지원되도록 제고하겠다”고 말했다. 다만 가계부채 관련 추가 대책과 관련해서는 “이미 관련 조치가 시행 중에 있는 만큼 효과를 살핀 뒤 결정하겠다”며 말을 아꼈다.
가상자산 문제에 대해서는 “최근 과도하게 늘어난 가계부채와 과열된 자산시장은 상호 상승작용의 연결고리를 갖고 있다”며 “더는 이 문제를 피하거나 미루지 않겠다”고 밝혔다. 투자자 보호와 관련해서는 “거래소 신고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예측 불가능한 피해를 최소화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고 위원장은 9월 말에 종료되는 소상공인 대출 만기연장·이자상환 유예 조처의 3차 연장 여부와 관련, “중소기업이나 자영업자 어려움을 충분히 감안하겠다”며 추석 전까지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구조조정과 관련해서 은행권은 이자상환에 대해 지적하고 있어서 협의하겠다”고 언급, 이자상환 유예 조처는 일부 중단할 수도 있음을 내비쳤다.
김지훈 기자 germa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