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선출을 위한 순회경선 첫 투표가 31일 시작된다. 각 주자는 첫 경선지인 충청권 민심을 사로잡기 위해 일제히 지역개발 공약을 쏟아내고 있다. 충청권 경선 결과가 최종 경선 결과의 ‘바로미터’로 작용할 수 있는 만큼 대권 주자들은 막판 조직력 싸움에도 전력을 다하고 있다.
주자들이 충청 민심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는 것은 충청권 권리당원·대의원 투표 결과가 이후 이어지는 1차 선거인단 투표(9월 12일)와 최대 승부처로 꼽히는 호남 경선(9월 25~26일)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다음 달 4일과 5일 진행되는 대전·충남 권리당원·대의원 투표에는 선거인단 투표는 포함되지 않지만 7만명 규모의 대의원·권리당원의 표심이 처음 공개된다. 민주당 관계자는 29일 “충청권 권리당원·대의원 투표 결과에 따라 각 캠프의 희비가 크게 갈리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충청권 권리당원·대의원 경선 결과는 현재로선 쉽게 예측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재명 경기지사 측은 충청 경선에서 이미 승기를 잡았다고 자신하고 있는 반면 당내에서는 충청권 조직력은 이낙연 전 대표가 근소하게 앞선다는 평가도 나온다. 당 관계자는 “예전부터 충청권은 선거 결과를 쉽게 예측할 수 없는 지역이었다”며 “압도적인 차이가 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특히 여권 1위 주자인 이 지사가 충청권 경선에서 과반 득표를 할 수 있느냐에 귀추가 주목된다. 이 지사 입장에서는 충청 경선에서 과반을 넘길 경우 결선 투표 없이 곧바로 본선에 직행할 가능성을 키울 수 있다. 반면 충청권 경선에서 1, 2위 주자 간 지지율 차이가 크지 않게 나타난다면 ‘이재명 대세론’이 타격을 입을 수도 있다.
이 지사 캠프의 한 의원은 “이 지사에 대한 충청권 여론이 상당히 좋아졌다”며 “과반 달성은 무난할 것으로 보이며, 호남 경선에서 격차를 더 벌릴 것”이라고 말했다.
이 전 대표 캠프는 소속 의원 30여명이 충청도 농촌지역까지 저인망식으로 누비며 당원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충청에서 최대한 격차를 좁혀 남은 순회경선에서 역전극을 펼치겠다는 게 이 전 대표 측의 선거전략이다.
이 전 대표 측 윤영찬 의원은 “충청권 권리당원·대의원 투표는 오차범위 내에서 승부가 펼쳐질 가능성이 크다”며 “투표 결과에서 이 전 대표가 승리할 것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캠프 내 다른 의원은 “호남에서 이 전 대표가 유리한 만큼 충청권에서 격차를 줄이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여권 대권 주자들은 앞다퉈 충청권 공약 홍보에 사활을 걸고 있다. 이 지사는 충청권 7대 공약을 발표하며 “세종시에 대통령 제2집무실을 설치하겠다. 세종시로 이전하지 않은 여성가족부 등 중앙행정기관을 세종시로 추가 이전시키겠다”고 약속했다. 앞서 이 전 대표도 “충청권 메가시티를 구현해 행정 및 과학 수도로 만들겠다”고 했고, 정세균 전 총리도 “대법원과 법무부, 대검찰청 등을 세종으로 이전하겠다”고 공약했다.
박재현 기자 jhyun@kmib.co.kr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