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벌어진 ‘황제 우산 의전’과 ‘장관 홍보’ 논란은 법무부가 인권 옹호에 앞장서는 기관인지 의심케 하기에 충분하다. 강성국 차관은 지난 27일 아프가니스탄인 입국 관련 야외 브리핑 때 수행비서가 아스팔트에 무릎을 꿇고 본인에게 우산을 씌워주고 있는데도 이를 내버려뒀다. 1~2분도 아니고 10여분 브리핑 동안 법무부의 어느 누구도 비서의 고통을 아랑곳하지 않았다니 놀라울 따름이다. 차관 역시 본인 뒤에서 우산을 든 모습을 봤으면서도 제지하지 않았다. 강 차관이나 법무부 직원들의 인권 감수성이 얼마나 형편없는지 여실히 드러난 장면이었다. 당시 취재진도 비서에게 카메라에 안 나오도록 이동해 달라고 했는데, 우천 상황에서 과도한 요구를 한 측면이 없지 않다.
법무부는 26일 아프간인들이 인천국제공항으로 입국할 때엔 그들을 배려하기보다 박범계 장관을 홍보하는 데 더 신경을 써 눈살을 찌푸리게 했다. 당시 풀기자단은 공항 보안구역에서 입국하는 아프간인을 촬영 중이었다. 그런데 갑자기 법무부 직원들이 취재진에게 입국심사대로 이동해 박 장관이 아프간인에게 인형을 나눠주는 퍼포먼스를 촬영해 달라고 요구했다고 한다. 입국 장면을 취재할 목적인 풀기자단에 장관 홍보 취재를 부탁한 것이다. 당시 외교부는 기자단에 아프간인들이 좁은 수송기에서 11시간을 비행해 극도로 피곤하고 예민하다면서 취재 자제를 당부했었다. 그런데도 정작 법무부는 장관을 돋보이게 하려고 아프간인들을 취재진에 다시 노출시킨 것이다. 생색을 내고 홍보를 해도 때와 장소를 가려야지 이렇게 분별이 없어서야 되겠는가.
인권을 보호하는 데 모범을 보여야 할 기관이 이러할진대 다른 부처는 사정이 어떨지 걱정하지 않을 수 없다. 차제에 공직사회의 의전 행태 전반을 점검해 이런 시대착오적인 일들이 되풀이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 정부기관들이 국민을 위한 홍보가 아니라 기관장을 위한 홍보에 치중해온 게 아닌지도 돌아볼 필요가 있다. 그런 홍보는 주객이 전도된 홍보이자 정부 자원을 사적인 일에 동원하는 것이나 다름없다.
[사설] 황당한 ‘우산 의전’과 ‘장관 홍보’, 법무부 인권기관 맞나
입력 2021-08-30 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