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단적 선택으로 사망에 이른 사례가 2013~2017년 꾸준히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원인으로 정신건강 문제가 가장 많았고 경제적 요인이 뒤따랐다. 전체 자살사망자 중 1인 가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높아졌다.
보건복지부와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은 29일 5개년 전국 자살사망 분석 결과 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는 경찰 조사기록과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연계한 자살사망 전수조사에 기반을 뒀다.
전체 자살사망자 수는 2017년까지 지속해서 감소했다. 극단적 선택으로 숨진 이들은 2013년 인구 10만명당 27.4명이었으나 매년 줄어 2017년엔 22.8명을 기록했다. 감소세는 성별과 무관하게 나타났으나 5년간 평균치를 냈을 때 남성의 자살사망 발생률이 10만명당 35.5명으로 여성(14.9명)보다 2.4배 높았다. 연령대별로는 만 65세 이상 노년층이 가장 취약했다. 전체 자살사망자 중 1인 가구 비율은 2013년 27%였으나 매년 조금씩 올라 2017년 30.1%로 나타났다.
극단적 선택의 주된 원인으로는 정신건강 문제가 36.1%로 가장 많이 지목됐다. 특히 마약류·불법약물 등의 남용이나 의존, 중독을 통칭하는 정신활성화물질 사용 장애가 환자 10만명당 2129명으로 압도적인 자살사망 발생률을 보였다. 신체건강 문제는 17.4%로 나타났다.
건강과 직접 관련되지 않은 요인 중에서는 경제적 문제가 19.5%로 직업이나 대인관계, 가족관계를 제치고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수입이 적거나 줄어든 이들이 특히 취약하다는 사실은 건보료를 통해서도 입증됐다. 20개로 나뉜 건강보험료 분위를 세 구간으로 재분류하고 의료급여 수급권자까지 포함해 분석한 결과 인구 10만명당 자살사망 발생률은 의료급여구간에서 43.5명으로 가장 높았다. 이 수치는 건보료 하위구간 30명, 중위구간 24.6명, 상위구간 19.1명으로 경제력과 반비례했다.
변동 여부를 기준으로 했을 때도 유사한 결과가 나왔다. 전년 대비 경제력이 줄어 건보료 분위구간이 하락한 이들은 10만명당 41.9명꼴로 극단적 선택을 했다. 반대로 상승한 경우는 10만명당 36.9명꼴이었다.
송경모 기자 ss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