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발 델타형 변이가 주도하는 코로나19 4차 유행에 대응하기 위해 현재의 사회적 거리두기가 최소 10월까진 유지돼야 한다는 전문가 의견이 나왔다. 거리두기로 두 달 동안 버티면서 백신 접종률을 70%까지 끌어올리는 전략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코로나19와의 공존을 꾀하는 ‘위드(with) 코로나’로의 방역 패러다임 전환은 백신접종 상황을 봐가면서 최대한 신중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서울 여의도 국민일보빌딩 5층 대회의실에서 26일 열린 2021미래의학포럼에서는 ‘코로나 터널 끝이 보인다-백신접종과 집단면역’을 주제로 위기를 맞은 한국형 방역대응에 대한 여러 의견이 제시됐다.
정재훈 가천의대 예방의학교실 교수는 ‘집단면역과 그 후, 일상회복 가능한가’의 주제 발표에서 “10월부터 거리두기를 완화했을 때 (현재 확진자 수와) 격차가 조금 더 드러날 것”이라며 “이때 백신 접종률이 최소 65%만 된다면 거리두기를 완화해도 안정된 미래를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정 교수는 현재 거리두기를 유지해도 확진자 수는 9월 말까지 증가해 정점으로 치달을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11월에 거리두기를 완화하면 상황이 훨씬 좋겠지만 우리가 그때까지 기다릴 여유가 있을지는 의문”이라고도 했다.
효과에 대한 회의감도 일부 있으나 정 교수는 거리두기의 효과는 있었다고 평가했다. 수도권 4단계, 비수도권 3단계 거리두기를 시행하면서 바이러스 전파력은 7월 초보다는 35~40% 떨어졌다고 분석했다. 다만 갈수록 효과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고 했다. 백신접종에도 불구하고 거리두기는 지속돼야 한다는 얘기다.
정 교수는 “올해 초에는 백신만으로 이 위기를 극복할 수 있다는 희망을 가졌는데 델타형 변이가 나오면서 백신접종만으로는 집단면역 효과를 기대하기가 어려워졌다”며 “백신접종을 진행하면서 (거리두기는) 최대한 점진적으로 완화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또 “코로나19는 우리 사회에서 없어지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이를 ‘특별하지 않은 감염병’으로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치명률과 전파력을 최소한 독감(인플루엔자) 수준으로 경감하기 위해 50대와 50세 미만의 기저질환자, 미접종 고위험군에 대한 접종에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강대희 서울의대 코로나19과학위원장도 기조강연에서 “일각에서는 집단면역을 달성할 수 없는 목표라고 말한다”며 “바이러스 변이의 특성을 파악하고 위중증 환자와 치명률 감소 정책으로 방향 전환을 고려해야 한다”고 동조했다.
국민일보와 쿠키뉴스가 공동 주최한 올해 미래의학포럼은 코로나19 상황을 감안해 무관중 온라인(유튜브 생중계) 행사로 치러졌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여당 간사인 김성주 의원과 야당 간사인 강기윤 의원, 전혜숙 더불어민주당 백신치료제특별위원장, 권덕철 보건복지부 장관, 정은경 질병관리청장, 원희목 한국제약바이오협회장이 영상과 서면 축사를 보내왔다.
민태원 의학전문기자, 최예슬 기자 tw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