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백신 접종이 확대되면서 오접종 사례도 잇따르고 있다. 정량보다 많은 양을 투여하거나 교차접종이 허용되지 않는 백신을 2차 접종에 쓰는 일이 발생하기도 했다. 상반기에도 오접종이 105건 발생해 정부가 지난 7월 대책을 내놨지만 두 달여 만에 8배 가까이 증가했다. 전체 접종건수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매우 낮지만 접종자의 건강을 해칠 수도 있어 대책을 보완하라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25일 코로나19 백신 예방접종과 관련한 오접종 건수가 전날 기준 829건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지난 6월 13일에는 105건, 7월 16일 기준으로는 426건이었다. 위탁의료기관에서 아스트라제네카(AZ), 얀센만 접종하던 상반기와 달리 하반기에 모더나, 화이자가 추가되자 오접종도 증가하는 추세다.
세부적으로 보면 ‘백신 관련 오류’가 314건으로 가장 많았다. 허용되지 않은 백신으로 교차접종을 하거나 유효기간이 지난 백신을 주입하는 경우, 온도 이탈 등 보관 방법이 잘못된 백신을 주입하는 경우가 포함된다. 이외 ‘접종용량 오류’가 278건, ‘접종시기 오류’ 125건, ‘대상자 관련 오류’ 90건, ‘희석액 관련 오류’ 18건, ‘접종방법 오류’ 4건이었다.
구체적으로는 치매 노인이 3번이나 백신을 맞는 중복 접종이 일어나거나 다른 진료를 받기 위해 병원을 찾은 환자에게 코로나19 백신을 접종하는 경우가 있었다. 최근에는 AZ 백신 1차 접종자 40명에게 교차접종이 허용되지 않은 모더나 백신을 2차로 접종하는 사례가 발생했다.
오접종 사례는 전체 접종건수(3845만건)의 0.002%수준이지만 접종자에게 어떤 이상반응을 일으킬지 몰라 위험할 수 있다. 김부겸 국무총리는 이날 “반복되는 백신 오접종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질병관리청과 각 지방자치단체가 관련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이미 7월에 오접종 대책을 내놨다. 접종할 백신을 헷갈리지 않도록 색깔이 다른 인식표를 각 백신의 보관함, 냉장고에 붙이고 환자에게도 나눠주도록 했다. 의료진 대상 접종 교육도 강화했다. 고의·중과실이 발생하거나 3회 이상 경고를 받은 위탁의료기관은 예방접종 위탁계약을 해지키로 했다. 실제 최근 10명에게 화이자 백신을 과다접종한 의료기관과 계약을 해지했다.
그러나 오접종 사례를 더 줄이려면 의료기관 교육을 현장 위주로 개편해야 한다는 지적이 잇따른다. 현재 대부분 위탁의료기관은 동영상 강의, 정부 가이드라인을 보고 접종한다. 정재훈 가천대 의대 예방의학과 교수는 “이미 발생한 오접종 사례를 의료기관에 전달하는 등 구체적인 사례를 바탕으로 현장 기반의 교육을 해야 한다”면서 “한 의료기관에서 단시간에 너무 많은 인원이 접종하지 않게 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새롭게 예방접종을 위탁받는 의료기관에 대해선 보건소가 초기 업무를 도와야 한다고도 제언했다.
최예슬 박장군 기자 smarty@kmib.co.kr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