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모란 청와대 방역기획관의 국회 운영위원회 불출석을 두고 여야 공방이 이어지고 있다. 운영위 참석자 선정은 국회의 몫이기에 기 기획관의 불참이 청와대의 탓은 아니다. 다만 청와대의 방역 컨트롤타워를 맡고 있는 기 기획관이 운영위 같은 공식석상에서 방역 상황을 설명했으면 어땠을까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더불어민주당은 23일 운영위에서 기 기획관의 출석을 요구하는 국민의힘 측에 “이태한 청와대 사회수석이 참여했기 때문에 코로나 정책 답변을 충분히 들을 수 있다”고 했다. 그러나 이 수석은 방역이 아닌 백신 정책을 맡고 있다.
청와대는 지난 4월 기 기획관 임명 당시 ‘옥상옥’ 비판이 일자 “기 기획관은 사회수석실이 기존에 하던 업무 가운데 방역 부분을 맡게 된다. 방역 업무를 넘겨준 사회수석실은 백신 수급에 주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코로나 정책의 두 축은 방역과 백신이다. 효율적인 질의 응답을 위해선 방역을 전담하는 기 기획관도 운영위에 참석하는 것이 맞았다.
민주당은 “기 기획관이 비서관급 인사라 운영위 참석의 격이 맞지 않는다”고 했다. 그러나 기 기획관은 단순한 비서관이 아니다. 기 기획관은 임명 직후 주로 수석급 이상만 참여하는 대통령 주재 내부회의에 배석하고 있다. 코로나 상황을 반영했다고 한다.
기 기획관에 대한 문 대통령의 신뢰는 큰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은 최근 회의에서 기 기획관에게 “코로나가 좀 잡힐것 같은가”라고 물었고, 기 기획관은 “아직 낙관할 수 없다”고 답한 것으로 알려졌다.
기 기획관은 임명 이후 4달간 공식석상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과거 자신이 ‘백신이 급하지 않다’는 취지로 발언한 것을 의식한 로키 행보라는 분석이 나왔다. 야권은 기 기획관의 발언을 근거로 정부의 백신 수급 의지까지 의심하고 있다. 이럴때일수록 기 기획관이 나서서 자신을 향한 비판을 해명하고, 정부의 방역 노력을 적극적으로 설명하는 것이 옳다. 4차 대유행을 버텨내고 있는 국민도 그걸 원할 것이다.
박세환 정치부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