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동해안 해녀문화로 어촌 살린다

입력 2021-08-25 04:05
해양수산부는 어촌·어항재생사업의 일환으로 경북 동해안의 해녀 문화를 기반으로 하는 사회적경제 모델 개발 사업에 착수한다. 포항시 제공

경북 동해안의 해녀 문화를 기반으로 한 특화상품과 서비스 모델 개발·육성이 본격 추진된다.

해양수산부는 24일 포항 구룡포에서 ‘어촌공동체를 기반으로 하는 사회적경제 모델’ 개발 사업 설명회를 가졌다.

사회적경제란 사회적기업, 협동조합, 마을기업, 자활기업 등이 구성원 간 협력을 바탕으로 재화와 용역의 생산 판매를 통해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경제적 활동이다. 해수부는 올해 경북 포항·경주, 경남 남해, 전남 여수 등 4곳을 사업대상지로 선정했다.

해수부는 포항 삼정리항·신창2리항과 경주 나정항을 대상으로 해녀 채취 수산물을 지역 사회적 기업과 연계해 상품화하기로 했다. 또 해녀 공동체 조직화를 지원하고 해녀 관련 관광, 교육, 체험 프로그램을 통한 서비스 콘텐츠도 개발한다.

이를 통해 사라질 위기에 처한 전통 나잠어업과 해녀문화를 유지 보존하고 수익 창출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경북도도 올해부터 4년간 53억원을 들여 ‘해녀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고령화·저소득에 따른 어촌 소멸에 대응하기 위해 3대 핵심전략 10대 과제를 시범사업으로 정했다.

도는 경북 해녀상 확립을 위해 해녀증 발급, 해녀아카이브 구축 및 해녀 기록화사업, 해녀 학술조명 및 해녀데이 지정 등을 추진한다. 또 해녀휴게실 확충 및 해녀진료비 지급, 해녀마을 박물관 조성, IoT(사물인터넷) 활용 해녀어업 안전장비 지원, 마을어장연계 수산물 복합유통센터 조성사업 등으로 해녀어업 활동을 지원한다.

해녀연계 어촌마케팅을 위해 해녀 키친스쿨 및 해녀요리 레시피 개발, 해녀와 청년 간 콘텐츠 개발, 해녀 CI 제작 및 문화상품 개발 등에 나선다.

경북 동해안의 해녀 수는 2018년 기준 1585명으로 제주도에 이어 두 번째로 많다. 포항 1129명, 경주 191명, 영덕 189명, 울진 66명, 울릉 10명 등이다.

김태경 해수부 어촌어항재생과 과장은 “어촌지역의 일자리 확대와 지역주민의 이익 공유가 가능한 어촌공동체 기반 사회적경제 조직 육성의 토대가 되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포항=안창한 기자 chang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