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의 일본처럼 되지 않으려면 HMM 문제 해결을 위해 청와대가 나서야 한다. 이건 한국해운 산업 전체가 걸린 문제다.” 한종길 성결대 글로벌물류학부 교수는 HMM 해상노조(선원노조)가 파업 찬반투표를 가결하고 경쟁사로의 단체 이직을 선언하자 이 같은 우려를 드러냈다.
HMM이 점차 파업에 가까워지는 모양새다. 2차례 진행된 중앙노동위원회 조정에서 끝내 입장차를 좁히지 못한 HMM 해상노조가 23일 진행한 파업 찬반투표(434명 참여·투표율 95.8%)에서 92.1% 찬성률로 파업을 가결했다. 해상노조는 오는 25일쯤 단체 사직서를 제출하고 스위스 해운업체 MSC로 단체 지원서를 제출한다는 계획이다.
전정근 HMM 해상노조위원장은 “남은 선원들이 가정을 잃어가면서 한국 해운물류 대란을 틀어막았지만 그만한 해상노동의 가치를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며 “가정을 지키기 위해 MSC로 이직을 위한 단체 사직서를 제출할 생각”이라고 밝혔다. 선원법에 따라 운항 중인 선박이나 외국 항구에 정박해 있는 선박에서는 쟁의행위를 할 수 없도록 돼있자 선택한 방법으로 보인다. 세계 2위 해운사인 MSC는 최근 몸집을 불리면서 한국인 선원 채용 공고를 내놓기도 했다. MSC는 HMM 평균 급여의 2배 수준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문제는 대규모 인력 이탈이 이뤄질 경우 현재의 물류난 심화뿐 아니라 HMM을 비롯, 우리나라의 해운 산업 경쟁력이 흔들리게 될 수도 있다는 점이다. 2016년 8년에 가까웠던 해상직 직원들의 근속연수는 올해 6월 말 기준 4.7년까지 줄어들었다. 경험이 많은 베테랑 선원들이 줄어든 것이다.
한 교수는 “최근 일본 배에서 사고가 많이 나고 있다. 그 배에 일본 선원이 한 명도 없어 커뮤니케이션이 제대로 안됐기 때문”이라며 “우리나라도 그렇게 되지 않으려면 한국 선원들을 잡는 게 장기적으로 낫다고 본다”고 말했다.
최근 상하이, 홍콩 등에서의 선박 적체가 증가하고 있어 선복난이 심해질 것이란 우려도 커지고 있다. 지난 20일 기준 SCFI(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는 15주 연속 상승하며 4340.18포인트를 기록했다.
앞서 HMM 사측은 노조에 임금 8% 인상과 격려금 300%, 생산성 장려금 200% 지급을 골자로 하는 안을 제시했다. 이에 노측도 마지막 조정에서 임금 8% 인상과 격려금 800%를 제시하며 한 발 물러섰지만 사측이 이를 거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해원노조는 “사측에서 전향적인 안을 가지고 온다면 다시 협의가 가능하다”며 대화의 가능성을 열어뒀다.
정진영 기자 yo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