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 다 건널때까지 ‘보행신호 자동연장’ 시스템 도입

입력 2021-08-23 04:04
보행신호자동연장시스템 개요도. 부산시

부산과 창원에 교통약자가 횡단보도를 안전하게 건널 수 있도록 보행 신호를 자동으로 연장해주는 시스템이 도입된다.

22일 부산시자치경찰위원회에 따르면 보행자 중심 교통문화 정착을 위해 ‘보행 신호 자동연장 시스템’ 시범사업을 추진한다.

‘보행 신호 자동연장 시스템‘은 주어진 보행 시간 내에 도로를 건너지 못한 어린이와 노약자·장애인 등 교통약자를 위해 보행 신호를 자동으로 연장해 주는 보행자 중심의 교통신호 체계다. 횡단보도에서 보행자를 알아내는 인공지능(AI) 영상인식 기능을 활용해 교통약자가 횡단보도를 건너는 도중 신호가 바뀌어 위험에 처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허용된 시간 범위(5~10초) 내에서 교통 신호 제어기와 통신을 통해 이뤄진다.

위원회는 ‘보행 신호 자동연장 시스템’을 도입을 통해 ‘안전속도 5030’ 보행자 중심 교통체계를 확립하고, 교통약자 보행환경을 개선토록 할 방침이다. 이번 시범사업에는 시비 3억원을 투입한다. 공모를 통해 교통약자 보행취약지 6곳을 선정, 올 10월부터 시행할 예정이다. 창원시는 창원중부경찰서, 도로교통공단 등과 함께 ‘어린이 보호구역’(단일로) 1곳에 다음 달 보행 신호 자동연장시스템을 설치한다.

보행신호자동연장시스템 개요도. 부산시

최근 교통안전 문화 확산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으로 교통사고 사망자 수는 전반적으로 감소 추세에 있지만, 여전히 교통사고 사망자 중 보행자 비중이 높은 상황이다. 지난해 기준 교통사고 사망자 중 보행자 비중은 42%로, 부산 전체 교통사망자 112명 중 보행자 사망이 47명을 차지했다. 횡단보도를 건너다가 교통사고로 다치거나 목숨을 잃는 노인(만 65세 이상)도 좀처럼 줄지 않고 있다. 한국교통안전공단에 따르면 지난해 보행 중 교통사고 사망자 1093명 가운데 노인은 628명으로 전체의 57.5%를 차지했다. 정용환 부산시자치경찰위원장은 “선진국 수준의 보행자 중심 교통안전 확보를 위해 교통단속강화 등 행정적 노력도 필요하지만, 첨단 기술을 활용한 보행환경 개선도 중요하다”고 밝혔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