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원웅 “보수정권은 친일반민족 정권”… 올 기념사도 논란

입력 2021-08-16 04:05
문재인 대통령이 15일 서울 중구 문화역서울284에서 열린 제76주년 광복절 경축식에서 사전 녹화된 김원웅 광복회장의 기념사가 끝난 뒤 박수를 치고 있다. 문 대통령 왼쪽은 김 회장. 청와대사진기자단

김원웅 광복회장이 76번째 광복절 기념사에서 이승만 박정희 전두환 박근혜정부를 ‘친일반민족 정권’으로 규정하며 친일청산의 필요성을 주장했다. 보수야권을 직접 겨냥한 것이다. 국민의힘과 야권 대선 주자들은 김 회장의 발언을 거세게 비판하며 사퇴를 촉구했다. 상생과 협력을 강조한 문재인 대통령의 메시지와 배치된다는 지적도 나온다.

김 회장은 15일 서울 중구 문화역서울284에서 열린 광복절 경축식에 영상 기념사를 통해 “우리 국민은 독립운동의 연장선상에서 친일 정권과 맞서 싸웠다”며 사실상 역대 보수 정권 전체를 싸잡아 친일 정권으로 지칭했다. 그는 “촛불혁명으로 친일에 뿌리를 둔 정권은 무너졌지만 이들을 집권하게 한 친일반민족 기득권 구조는 아직도 철의 카르텔 구조를 유지하고 있다”며 “친일반민족 족벌 언론이 기득권 유지를 위한 거짓과 왜곡을 계속하고 있다”고 했다.

과거 일부 정권을 친일세력으로 평가하며 청산해야 할 대상으로 보는 김 회장의 발언은 처음이 아니다. 지난해 광복절 기념사에서도 김 회장은 이승만정부를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를 폭력적으로 해체하고 친일파와 결탁한 정권”으로 묘사하며 한국을 “민족 반역자를 제대로 청산하지 못한 유일한 나라”라고 비판해 논란을 부른 바 있다. 앞서 고 백선엽 장군을 향해 “사형감”이라고 비판했던 김 회장은 이날도 시라카와 요시노리로 창씨개명한 백 장군의 행적을 비난했다.

날선 김 회장의 발언이 광복절 기념사로 적절했는지를 두고 비판도 제기됐다. 특히 “대화의 문을 항상 열어두고 있다”는 문 대통령의 대일 메시지와 배치된다는 지적도 나왔다. 일각에선 청와대가 사전녹화된 김 회장 발언 내용을 알고도 방조한 것 아니냐는 얘기도 나왔다. 그러나 청와대 관계자는 “김 회장 기념사 내용을 미리 확인했다 해도 청와대가 이래라저래라 관여할 수는 없는 것”이라며 청와대와의 사전조율론에는 선을 그었다.

야권은 일제히 김 회장 기념사를 비판했다. 신인규 국민의힘 상근부대변인은 “철 지난 이념과 극도로 편향된 역사관이 전제된 채 대한민국의 정통성을 정면으로 부인하는 기념사”라며 “매년 반복되는 김 회장의 망언을 방치해 국민 분열을 방조하는 문 대통령에게도 근본적 책임이 있다. 국가보훈처를 통해 광복회장 자리에서 물러나게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윤석열 전 검찰총장 캠프 김병민 대변인은 “분열과 증오의 정치로 무엇을 얻고자 하나”고 따졌다. 원희룡 전 제주지사는 “지긋지긋한 친일팔이”라고 김 회장 발언을 맹비난했다.

정현수 박세환 기자 jukebo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