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오락가락 백신 정책… 이래서야 10월 집단면역 가능할까

입력 2021-08-16 04:05
백신 수급 상황에 따라 정부의 접종 계획은 오락가락하고, 백신 오접종 사고는 잊을 만하면 반복된다. 젊은층은 부작용을 우려해 접종 자체를 꺼린다. 상황이 이런데도 대통령의 인식은 국민과 차이가 크니 답답한 노릇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15일 광복절 경축사에서 “10월이면 전 국민의 70%가 2차 접종까지 완료할 것”이라고 말했다. 코로나 위기가 안정적으로 극복되고 있다면서 집단면역 목표를 당초 11월에서 한 달 앞당기겠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는 현실과는 동떨어진 장밋빛 전망이다.

정부는 30~40대도 원하면 남는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을 맞을 수 있다고 했다. 젊은층의 혈전증 위험 때문에 50세 이상만 맞도록 한 결정을 스스로 뒤집은 것이다. 최근 만 60~74세 2차 접종이 이뤄지면서 AZ 잔여 백신이 다량 폐기되자 내린 고육지책이다. 그러나 정부가 AZ 접종 권고 연령을 50세 이상으로 그대로 두고 30~40대 희망자에게 기회를 준다는 것은 부작용의 위험을 개인에게 전가하는 셈이다. 과학적 근거나 충분한 설명이 없이 물량이 남으니 원칙을 바꾼 것으로 보여 납득하기 힘들다. AZ를 생산하는 영국조차 40세 이상만 접종을 허용하고 있다.

충북 청주의 민간위탁 기관에서는 10명에게 화이자 백신을 정량보다 5~6배 과다 투여한 일이 벌어졌다. 식염수에 희석해야 하는 화이자를 원액 그대로 주사하는 모더나 백신으로 착각했다는데 너무나 초보적인 실수다. 국내 코로나 백신 접종 시작 후 발생한 오접종 사례는 400건이 넘는다. 정부는 접종 속도전에만 집착하지 말고 의료 현장에서 이런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각별한 교육과 관리를 해야 한다.

만 18~49세를 대상으로 진행 중인 백신 접종 예약률이 60% 수준이다. 정부의 최소 기대치인 70%를 밑도는 것이다. 이들은 부작용 우려 때문에 백신 접종 자체를 기피한다고 한다. 정부가 10월 집단면역을 이루기 위해서는 백신에 대한 국민의 신뢰가 바탕이 되어야 한다. 지금처럼 정부의 계획이 접종률을 높이기 위한 임기응변식 대응이라는 인식을 주어서는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