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흘 연속 코로나19 확진자가 2000명대 안팎으로 나오고 있다. 유일한 출구전략인 예방접종 완료율은 아직 20%에 도달하지 못했다. 급해진 정부는 환자 폭증에 대비해 수도권 민간병원의 병상을 동원하기로 했다. 또한 부작용 논란 때문에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을 맞히지 않기로 했던 30~40대도 원할 경우 이 백신을 맞아도 된다고 방침을 바꿨다. 접종률 재고를 위해서라지만 안전성에 대한 심사숙고 없이 성급하게 내려진 결정이라는 비판이 뒤따랐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13일 0시 기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1990명 늘었다고 집계했다. 이날 수도권의 감염병전담병원 병상이 20%밖에 남지 않자 정부는 병상을 확충하기 위한 대책을 내놨다. 수도권의 300~700병상 규모 종합병원 중 코로나19 치료 병상을 운영하지 않고 있던 26곳에 대해 5% 이상 전담 병상을 확보하도록 행정명령을 내렸다. 중환자 병상도 171병상 늘리기로 했다. 수도권 22개 상급종합병원은 중환자 병상을 현행 1%에서 1.5%로 확대하도록 했다. 9개 종합병원은 병상의 1%를 코로나19 중환자 병상으로 준비하도록 했다.
병상 부족을 막으려면 불가피한 조치였지만 장기간 유지되면 일반 중환자 치료가 지장이 있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수도권의 한 대형병원 관계자는 “코로나19 대응에 병동의 상당 부분이 쓰이다 보니 다른 질환자의 입원 적체가 생기는 건 어쩔 수 없다”고 말했다.
정부는 만 50세 이상만 접종키로 했던 AZ 백신의 접종 원칙을 일부 바꿨다.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은 이날부터 30~40대 AZ 백신 1차 접종자 중 희망하는 경우 AZ 잔여 백신을 2차로 맞을 수 있다고 밝혔다.
원래 계획대로면 이들은 화이자 백신을 2차로 맞아야 한다. AZ 백신은 젊은층에서 희귀 혈소판감소성혈전증(TTS) 이 발생할 위험이 있어 교차 접종을 진행하고 있다. 그런데 4차 유행이 심하다는 이유로 원칙을 바꾼 것이다. 정은경 추진단장은 “30~40대에게 AZ 백신을 선택권 없이 맞으라고 한 게 아니라 본인 선택하에 좀 더 일찍 맞을 사람은 기회를 준다는 것”이라고 부연했으나 안전성 논란이 뒤따를 것으로 예상된다.
결국 유행을 빨리 잡는 게 관건이지만, 정부는 뾰족한 대안을 내놓지 못했다. 김부겸 국무총리는 대국민 담화문에서 “내일부터 시작되는 3일간의 연휴 동안 모임과 이동을 최소화해 달라”며 이동 자제를 당부하는 데 그쳤다.
백신 수급과 관련해서는 성과가 있었다. 이날 정부는 미국에서 얀센 백신 40만회분을 공여받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 백신은 고위험군 등에 8월 23일부터 접종할 계획이다. 또 내년 분량의 화이자 백신 3000만회분을 확보하고, 필요할 경우 3000만회분을 더 받을 수 있도록 옵션도 달았다. 정부는 내년에 쓸 백신을 2000만회분 더 확보할 계획이다.
최예슬 기자 smar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