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사태가 최악으로 치닫고 있는 상황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정부는 방역을 잘하고 있다”는 식의 지속적인 낙관론을 펼치는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문 대통령이 방역 현실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이 나왔지만 청와대 측은 “객관적인 상황을 언급한 것”이라고 반박했다.
문 대통령은 국내 코로나 일일 확진자가 처음으로 2000명을 돌파한 11일 “우리나라는 다른 국가들보다는 상대적으로 나은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달 12일 수도권 특별방역점검회의 모두발언에서 ‘짧고 굵게’라는 표현을 네 차례나 사용하며 코로나 종식에 대한 각오를 드러냈다. 지난달 25일 수도권 거리두기 4단계를 2주 연장할 당시엔 “4단계 조치로 확진자 급증세를 어느 정도 억제할 수 있었다”고 자평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 9일에도 “그동안 시행한 고강도 방역 조치가 확산세를 꺾지는 못했어도, 급격한 확산세를 차단하는 데는 분명한 효과가 있었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이 정부 방역에 대한 자신감을 꾸준히 드러낸 것에 대해 정치권에선 현실과 동떨어진 인식이라는 비판이 나왔다.
문 대통령은 기모란 방역기획관을 비롯한 참모들로부터 매일 코로나 관련 보고를 받고 있다. 청와대 내부 회의에서도 코로나 방역과 백신 문제가 주요 관심사라고 한다. 문 대통령이 직접 세세한 방역 상황을 묻는 경우도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관계자는 “참모들이 상황을 낙관적으로 포장해 보고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했다. 결국 문 대통령이 델타 변이 바이러스 확산을 국제적인 현상으로 인식하고, 다른 나라와 확진자·사망자·위중증 환자 숫자 등을 객관적으로 비교해 발언하고 있다는 게 청와대의 설명이다.
다만 국내 확진자가 폭증하고 있고, 모더나 사태로 백신 수급 차질이 불가피한 상황에서 야권을 중심으로 방역 정책을 총괄하는 이진석 국정상황실장과 기 기획관에 대한 책임을 물어야 한다는 주장도 계속 나오고 있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