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신규 확진 첫 2000명대… 방역 체계 이대로는 안 된다

입력 2021-08-12 04:01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11일 0시 기준 2223명으로 집계됐다. 지난달 7일 이후 줄곧 1000명대를 유지하며 기세가 꺾이지 않더니 이젠 처음으로 2000명까지 넘어섰다. 수도권은 사회적 거리두기 4단계를 한 달 이상, 비수도권은 3단계(일부 지역 4단계)를 3주째 시행하고 있는데도 확진자가 불어나고 있으니 걱정이다. 방역 당국은 전파력이 강한 델타 변이의 확산과 휴가철 지역 간 이동량 증가로 인해 최근 확진자 수가 증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사업장, 실내 체육시설, 요양병원 등 곳곳에서 집단감염이 속출하고 있고 지역사회 숨은 전파도 늘어나고 있어 상황이 더 악화될 가능성이 높다. 방역 당국과 전문가들은 아직 4차 유행의 정점이 오지 않았다고 한다. 이달 하순 이후 신규 확진자가 4000명까지 증가할 수 있다는 전망까지 나오고 있으니 그저 암담할 따름이다.

백신이 그나마 확산을 막을 가장 효과적인 무기인 만큼 정부가 백신 확보에 총력을 기울여야 하는 건 두말할 것도 없다. 변이 확산과 돌파 감염 등으로 코로나19의 완전한 종식이 어렵다는 이유로 방역과 일상의 조화를 이루는 방역 체계로의 전환을 모색해야 한다는 주장이 있지만 시기상조다. 백신 접종률이 낮은 상황에서 거리두기를 완화하면 유행이 걷잡을 수 없는 상황으로 치달을 수 있다. 백신 접종률을 신속히 높여가면서 유행이 더 확산되지 않도록 방역 시스템을 재정비하는 게 최선이다. 거리두기를 더 강화할 수도 있지만 겨우 버티고 있는 자영업자와 소상공인들의 딱한 처지를 생각하면 쉽지 않은 선택이다. 불가피하다면 대부분 밤 10시까지 허용된 다중이용시설들의 영업시간 제한 확대나 운영 중단 등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그러려면 합당한 보상이 전제돼야 한다. 일반 시민들의 피로감이 커진 상황이라 거리두기 강화의 수용성이 떨어질 수 있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 신규 확진 급증에 대비해 의료 대응체계 정비도 서둘러야 한다. 위·중증 환자 병상과 의료진을 확충하고 경증 환자를 위한 생활치료센터도 권역별로 충분히 확보하길 바란다.

시민들의 협조가 무엇보다도 절실하다. 다들 힘든 상황이지만 사회적·물리적 거리두기 등 방역 지침과 마스크 착용, 손 자주 씻기 등 개인 위생 수칙을 지켜야 한다. 의심 증상이 있으면 출근하지 말고 즉시 진단검사를 받는 게 바람직하다. 휴가를 마치고 일상으로 복귀하기 전에 증상이 없어도 선제적으로 검사를 받으라는 당국의 권고도 새겨들을 필요가 있겠다. 그래야 숨은 전파를 줄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