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형 공공임대 방식으로 추진중인 ‘광주형 평생주택’ 건립사업이 내년 착공된다. 상무지구 시범사업에 대한 행정절차가 마무리돼 본궤도에 올랐다.
광주시는 “생활기반시설이 충분한 도심에 중형 아파트를 지어 저렴한 임대료를 받는 광주형 장기 공공임대 혁신주택 건축설계를 다음달 공모한다”고 11일 밝혔다.
서민들의 대표적 주거공간으로 꼽히는 공공임대 아파트는 대부분 전용면적 60㎡ 이하 소형이다. 하지만 광주형 공공임대는 전용면적 84㎡ 등 4인 기준 1가족이 필요한 중형을 포함하고 있다. 시는 광주형 공공임대가 저소득층만 집단 거주하는 낡고 비좁은 아파트라는 인식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저렴한 임대료를 내고 신혼부부 등이 생활하는 혁신모델로 자리 잡게 된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고품격 광주형 공공임대는 국·공립어린이집, 생활문화센터 등 다양한 사회간접자본을 갖춘 번화가이자 업무·유통·금융 중심지인 상무지구 규제 완화 특별건축구역에 신축된다.
시는 상무소각장 인근 나대지에 1371억원을 투입해 오는 2024년 460세대의 광주형 공공임대를 임대 분양할 계획이다. 전용면적 84㎡ 224가구, 59㎡ 176가구, 36㎡ 60가구다.
이를 위해 기본계획 등 사전 행정절차를 마치고 다음 달 3일까지 건축설계를 공모한다. 심의를 거쳐 설계 공모 당선작을 선정한 뒤 실시설계를 거쳐 내년 상반기 착공한다는 방침이다.
시는 오는 2030년까지 미성년 자녀를 둔 서민들의 주거안정과 집값 상승을 막기 위해 인공지능 기반의 스마트 기능과 녹색 뉴딜을 접목한 총 1만8000가구의 광주형 임대주택을 공급한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