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경제상황에 대응하기 위한 중국의 완화적 통화정책이 한국 경제에 복합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대중(對中) 무역 확대는 긍정적인 효과로 제시된 반면 국내 물가상승 압력이 더 커질 것으로 보았다.
한국은행은 10일 ‘중국 통화정책 변화가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를 통해 이 같은 내용을 설명했다. 한은에 따르면 중국 금융당국은 코로나19발 경기 침체에 대응하기 위해 일률적이기보다는 다양한 금융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대표적으로는 선별적 유동성 공급 수단을 통한 완화적 통화 정책이 있다. 초단기 유동성 변화에는 만기가 7~28일로 설정된 정책금리를 활용하고, 그 외 경우에는 최대 3년에 달하는 정책금리를 적용해 유동성을 조절하는 것이다. 또 일괄적으로 시장에 유동성을 불어넣기보다는 저신용 중소·민영기업 등 부문에 대한 신용공급을 확대하고 있다.
한은은 중국의 통화정책이 교역변수(무역)와 금융변수(금융) 두 방향에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제시됐다. 우선 무역 면에서 보면, 중국의 완화적 통화정책은 대중 수출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한국의 대중 수출은 중간재가 큰 비중(73.2%)을 차지하고 있는데, 중국의 통화정책 완화로 위안화가 절하되고 중국의 대(對)선진국 수출이 늘어나면 자연스럽게 중간재 수요도 따라 늘어나기 때문이다.
금융 면에서는, 위안화가 절하됨에 따라 원화는 상대적으로 가치가 절상된다. 따라서 자산 수익률이 높은 국내 시장에 중국의 투자자금이 몰리게 되고, 이에 따라 국내 금리는 하락한다고 한은은 설명했다. 금리가 하락하면 국내 기업 미래 수익의 현재 가치가 높아져 글로벌 자금이 추가로 유입되고 주가는 상승 곡선을 그리게 된다.
다만 국내 물가 상승 압력이 증가한다는 점은 부정적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인다. 중국 내 유동성 증가로 원유, 원자재 수요가 증가하면 국제원자재 가격이 상승하는데, 이렇게 되면 국내 기업의 생산비용이 증가하고 물가가 상승할 수 있기 때문이다.
김지훈 기자 germa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