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정부가 목표로 내건 ‘2050 탄소중립’을 위한 구체적인 실행방안이 5일 공개됐다.
2050년까지 석탄·LNG발전을 전부 중단하거나 최소화하고 재생에너지를 대폭 늘리는 방식으로 2018년 기준 6억8630만t에 달하던 온실가스 순배출량을 2050년까지 96.3∼100% 감축한다는 것이 핵심 내용이다.
대통령 직속 2050 탄소중립위원회는 이날 2050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3개 시나리오 초안을 내놓았다. 이번 시나리오에는 전환(에너지), 산업, 수송, 건물, 농축수산, 폐기물 등 온실가스를 발생시키는 주요 부문의 감축 계획이 담겼다.
시나리오 1안이 시행될 경우 2050년 온실가스 순배출량은 2540만t으로 2018년에 비해 96.3% 줄게 된다. 2안은 1870만t의 온실가스 배출(97.3% 감축)이 목표다. 3안은 온실가스 순배출량 0, 이른바 ‘넷제로’를 추진하고 있다.
각 시나리오의 가장 두드러진 차이는 에너지 부문이다. 시나리오 1안은 석탄·LNG(액화천연가스)발전 등 기존 에너지원을 일부 활용하면서도 친환경 기술을 적극 도입하는 내용을 담았다. 2050년까지 수명을 다하지 않은 석탄발전소 7기도 유지된다.
시나리오 2안의 핵심은 석탄발전은 완전히 중단하되, LNG발전은 유지하는 것이다. 시나리오 3안은 석탄과 LNG와 같은 화석연료를 활용한 발전의 전면 중단을 통해 넷제로를 달성한다는 구상이다. 전력 공급의 대부분인 70.8%를 재생에너지로 충당하고 수소터빈, 암모니아 발전과 같은 무탄소 신전원의 비중을 21.4%로 대폭 확대하겠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3가지 시나리오에서 원전 비중은 6.1%∼7.2%다. 2018년의 23.4%보다 크게 줄지만, 시나리오별 차이는 크지 않다.
탄소중립위는 또 철강업의 경우 기존 고로를 모두 전기로로 전환하고, 석유화학·정유업의 경우 전기가열로를 도입하겠다는 계획을 제시했다.
수송 부문에서는 전기·수소차 보급을 확대할 방침이다. 3가지 시나리오마다 차이가 있지만, 전기·수소차와 같은 무공해차가 전체 차종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2050년까지 76∼97%로 늘려 수송 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88.6∼97.1% 감축하겠다는 구상을 내놓았다.
일회용품 사용 제한, 재생원료 사용(폐기물) 등의 계획도 포함됐다.
탄소중립위는 이번에 제시한 시나리오 초안과 관련해 오는 9월까지 각계의 의견을 수렴할 계획이다. 일반 국민의 의견을 듣기 위한 탄소중립시민회의도 7일 출범한다. 최종안은 탄소중립위와 국무회의 의결을 거쳐 10월 말에 발표된다.
김영선 기자 ys8584@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