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가 북구의 옛 경북도청 터 일대를 개발하는 대구 도심융합특구 사업의 밑그림을 그린다. 청년이 모이는 최첨단 특구로 만들기 위한 전략을 마련할 예정이다.
대구시는 3일 ‘도심융합특구 기본계획 수립 연구용역’ 착수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번 용역은 옛 경북도청 터, 경북대, 삼성창조캠퍼스를 대상으로 2030년까지 추진하는 도심융합특구의 기본적인 사업계획, 활성화 방안, 재원 확보 대책을 마련하고 사업타당성을 분석하기 위해 실시한다.
대구시는 용역을 통해 데이터 기반 지역혁신 인프라, 연구개발(R&D), 인재양성·기업지원 기능이 집중된 고밀도 혁신공간 조성 방안을 마련한다. 시는 중앙 부처의 타당성 조사 용역 경험이 풍부한 업체와 지난달 계약을 체결했다.
옛 경북도청 터 일대는 지난해 말 정부의 도심융합특구 선도사업지로 선정됐다. 이 사업은 지역균형발전을 위해 우수한 산업·주거·문화 복합인프라를 갖춘 ‘판교2밸리’ 같은 공간을 지역에 조성하는 것이 목표다. 대구시는 옛 경북도청 터-삼성창조캠퍼스-경북대를 잇는 트라이앵글 지역을 데이터, 네트워크, 인공지능 등 신기술 산업이 중심이 되는 대구형 실리콘밸리로 만든다는 계획을 세웠다.
대구시는 용역을 진행하는 동시에 ‘도심융합특구 태스크포스(TF)’를 확대·재편해 업무 효율성을 높일 계획이다.
홍의락 대구시 경제부시장은 “도심융합특구 기본계획 수립 용역은 장기적 계획을 가지고 대구의 비전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며 “구조전환, 가치창출, 선택과 집중이라는 세 가지 측면을 모두 포함할 수 있는 사업이 될 수 있도록 관련 기관들과 함께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