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 전 법무부 장관이 끄집어 올린 윤석열 전 검찰총장의 ‘부정식품’ 발언 논란이 정치 쟁점화하고 있다.
윤 전 총장은 지난달 19일 공개된 매일경제 인터뷰에서 자유주의 경제학자 밀튼 프리드먼의 저서 ‘선택할 자유’ 내용을 거론하면서 “프리드먼은 먹어서 병에 걸려 죽는 것이면 몰라도, 부정식품이라고 하면 (퀄리티 기준) 아래라도 없는 사람은 선택할 수 있게, 싸게 먹을 수 있게 해줘야 한다고 했다”고 언급했다.
이 발언은 당시 기사화되지 않았다. 그러나 전문을 담은 유튜브 영상이 인터넷 커뮤니티 등에서 퍼졌고, 보도 2주일이 지난 시점에서 조국 전 장관이 이를 공론화했다. 그는 지난 1일 페이스북에 해당 유튜브 영상 링크를 공유하며 “‘병 걸리고 죽는 거면 몰라도 없는 사람들은 부정식품 아래 것도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 이 발언은 놓쳤다”라고 적었다. 이후에도 윤 전 총장 발언을 비판한 기사 10건 이상을 연이어 게재했다.
조 전 장관이 불을 붙이자, 여권이 반응하며 윤 전 총장에게 집중포화를 날렸다. 이재명 경기지사는 2일 “독약은 약이 아니다. 어안이 벙벙하다. 내 눈을 의심했다”며 “건강, 위생, 안전, 생명이라는 국민의 기본권이 빈부에 따라 차별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윤 전 총장이 강조하는 공정이냐”는 글을 페이스북에 올렸다.
이낙연 전 민주당 대표는 “윤 전 총장의 발언은 인간의 생명과 건강에 대한 그의 위험한 인식을 드러낸다고 했다. 정세균 전 국무총리는 “불량 후보다운 불량 인식에 경악한다”며 “가난한 국민이 불량식품 먹고 살지 않도록 돌보는 게 국가의 의무”라고 비판했다.
국민의힘 내부 경쟁자인 유승민 전 의원도 “충격이다. 프리드먼의 주장이 늘 옳은 것은 아니다”며 공세에 가세했다.
이에 윤 전 총장은 “(부정식품 발언 관련 비판은) 어이없는 이야기”라고 일축했다. 그는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인터뷰 때) 각종 행정사건에 대해 검찰이 수사권을 남용하지 않도록 억제해야 한다고 말하면서 (검찰 재직) 당시에 책을 인용해 (단속하지 말자는) 논리를 제공했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발언의 전체 맥락을 보면 ‘부정식품 단속’ 사례를 들어 ‘문제가 없는 선에서는 규제를 남용해선 안 된다는 취지’였음에도 의도적 왜곡을 한다는 항변이었다.
윤 전 총장 캠프 김병민 대변인도 “범여권 정치인들이 또다시 뭐라도 하나 잡았다는 듯이 보름 전 기사를 왜곡해 네거티브 정치에 몰입하고 있다”며 “구시대 정치행태에 참담한 심정”이라고 반격했다.
지호일 기자 blue5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