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지역 자치구가 장애인을 위한 정책 개발에 나서고 있다.
광주 서구는 “이달부터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에서 징수한 주·정차 위반 과태료 수입금을 장애인 편의 제공과 복지 증진에 사용하도록 별도의 기금운용에 들어갔다”고 2일 밝혔다. 지자체가 이 같은 기금조성을 하는 것은 전국에서 처음이다.
조성된 기금은 다음 달부터 장애인 주차구역 전체에 대해 구획선, 노면 표시 도색, 표지판 보수 등 장애인 주차여건을 우선 개선에 사용하고, 각종 장애인 편의시설을 보완하는 데 투입된다.
남구 역시 지난해 12월 ’제1회 장애인 문화예술제’를 개최하는 등 몸이 불편한 이들의 문화예술 창작지원 활동에 힘을 쏟고 있다. 올해 들어서도 장애인의 문화예술 활동을 돕기 위해 ‘장애인 문화예술단(합창단)과 창작단’을 구성했다. 지난 4월 중순 모집 공고에 이은 공개 오디션과 창작품 심사 등을 통해 49명의 단원을 선발했다. 남구의 장애인 정책은 성과로 이어지고 있다. 최근 관내 기초생활보장수급자와 차상위 계층의 장애인 1571명을 대상으로 한 실태조사에서 장애인 대부분이 ‘남구는 살기 좋은 곳’이라고 응답했다.
북구도 코로나19에 지친 장애인 생활 지원을 위해 1인 가구 재가 장애인 400명에게 ‘마음 건강 오감 꾸러미’를 배달하는 등 장애인 보살피기에 여념이 없다. 북구와 시는 내년부터 영화 ‘도가니’의 소재가 된 이후 폐쇄된 광주 인화학교 청각·언어 장애인을 위한 복지관을 양산동 옛 근로청소년복지회관 부지에 건립한다.
문인 북구청장은 “장애인이 행복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가려운 곳을 찾아 긁어주는 정책개발에 더욱 관심을 가질 것”이라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