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 강도의 사회적 거리두기 효과를 확인할 수 있는 28일 이후 확진자 추이에 따라 향후 4차 유행의 향방이 달라질 전망이다. 당장은 수도권 확산세가 둔화했지만 최악의 경우 ‘계단식 확산’ 구조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신규 확진자는 수도권 4단계 시행 이후 셋째 주 들어서도 별로 줄지 않고 있다. 방역 당국 등에 따르면 27일 0시부터 오후 9시까지 전국에서 1712명이 새로 확진됐다. 이는 청해부대원 확진자(270명)를 한꺼번에 반영한 지난 21일(1천726명)을 제외하면 같은 시간대 기준 최다 기록이다. 주말을 맞아 줄었던 검사량이 많아지면서 전날 같은 시간대 기준 확진자(1219명)보다 크게 늘었다. 지난 20일에 비해서도 31명 더 많다. 이들 중 1165명은 수도권에서 나왔다.
전문가들은 4단계의 뚜렷한 성과가 나타나지 않는 대표적 이유로 델타형 변이를 지목했다. 지난 18~24일 델타 변이 검출률은 51%로 전체 유전자 분석 건수의 절반을 넘겼다. 비수도권으로부터 역유입을 경계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이재갑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비수도권의 집단감염을 초기에 차단하지 못하면 잠재된 감염원이 된다”며 “악화된 비수도권 상황이 수도권에 다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경고했다.
4차 유행의 분기점은 28일 이후로 꼽힌다. 우세종이 된 델타형 변이와 4단계 거리두기 효과 중 어느 쪽이 더 큰 영향을 미치느냐에 달려 있다. 엄중식 가천대 길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당장 2000~3000명 규모로 급증할 가능성은 크지 않지만 현재 수준의 확진자 수도 위협적”이라며 “감소세 전환 없이 정체 양상을 이어가다 다시 확산하는 ‘계단식 구조’로 갈 수도 있다”고 말했다.
김부겸 국무총리는 이날 “부처와 지방자치단체, 수도권과 비수도권이 함께 힘을 모아 2주 안에 반드시 의미 있는 변화를 만들어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각 지자체는 방역 상황이 엄중하다고 판단될 경우 고위험 시설 집합금지나 영업시간 제한 등 지역 여건에 맞는 과감한 방역 강화 조치를 선제적으로 시행해 달라”고 당부했다.
비수도권 지자체들은 예고대로 일제히 거리두기 단계를 끌어올렸다. 모두 160개 비수도권 시·군·구 중 124곳이 3단계 이상을 시행했다. 대전, 경남 김해, 강원도 양양은 지역 내 거센 유행을 반영해 4단계를 적용했다. 인구가 10만명에 못 미치는 기초 지자체 중 확진자가 적은 23곳은 비수도권 일괄 3단계에서 벗어나 2단계를 실시했다. 전국에서 경북 13개 시·군만이 1단계를 적용키로 했다.
송경모 기자 ssong@kmib.co.kr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