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예고한대로 26일 광화문광장 세월호 기억·안전 전시공간(기억공간) 철거를 시도했으나 유가족 측이 반발하자 철거 작업을 27일 오전까지 일시 유예했다. 유족 측과 접점을 찾기 위해 더 노력하겠다는 것이어서 바람직한 조치였다. 하지만 문제가 해결된 것은 아니다. 새로 조성하고 있는 광화문광장 공사 진도에 맞춰 이달 중에는 기억공간을 해체하고 8월 초부터 공사를 본격화하겠다는 서울시 입장은 변함이 없기 때문이다. 유족 측은 공사 기간 중 기억공간을 임시 이전하고 새 광장이 완공되면 광장 안에 대체 공간을 마련해 줄 것을 요구해 왔다.
세월호 참사 7주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유족들의 아픔이 치유되지 않고 기억공간 존치 여부가 사회적 갈등 요인으로 남아 있는 것에 안타까운 마음을 금할 수 없다. 양측의 갈등은 거듭된 조사와 수사에도 유족들의 의문을 말끔히 씻어주지 못한 정부에 일차적인 책임이 있다. 검찰 수사, 국회 국정조사, 감사원 감사, 사회적참사특별위원회 조사, 검찰 특별수사단 수사 등 8차례 수사·조사가 이뤄졌고 특별검사가 수사를 진행하고 있는데도 유족들은 여전히 응어리가 풀리지 않고 있다. 유족들을 납득시킬 수 있도록 정부가 진상 규명에 최선을 다해야 하는 건 두말할 것도 없다.
하지만 기억공간 존치 여부는 또 다른 문제다. “광장에 특정 구조물을 조성·운영하는 것은 열린 광장이자 보행 광장으로 탄생할 새로운 광장 취지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서울시 주장에 고개를 끄덕이는 이들이 적지 않을 것이다. 광화문광장은 대한민국의 상징적인 공간인 만큼 모든 시민들의 공간으로 돌려주는 게 바람직하다. 그게 진상 규명 작업을 끝내고 참사의 아픔을 묻어두자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서울시도 시민들의 접근이 편리한 곳에 대체 공간 마련을 적극 검토하는 등 유족들의 공감을 얻기 위한 노력을 더 기울여야 할 것이다.
[사설] 광화문광장 모든 시민들의 공간으로 돌려줘야
입력 2021-07-27 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