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C가 2020 도쿄올림픽 중계 과정에서 발생한 방송사고에 대해 사과했다. 개회식과 경기 등을 중계하며 부적절한 문구와 사진을 내보내 ‘나라 망신’이라는 비판이 쏟아진 데 따른 것이다. 박성제 MBC 사장은 “원인을 파악하고 사고 재발 방지에 모든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박 사장은 26일 서울 마포구 MBC 사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전 세계적인 코로나 재난 상황에서 지구인의 우정과 연대, 화합이라는 올림픽 정신을 훼손하는 방송을 했다”며 “마음에 상처를 입은 해당 국가 국민들과 실망하신 시청자 여러분께 MBC 콘텐츠의 최고 책임자로서 머리 숙여 사죄드린다”고 밝혔다. MBC는 올림픽 중계 과정에 피해를 입은 국가에 사과 서한을 전달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급하게 1차 경위를 파악해보니 특정 몇몇 제작진을 징계하는 것에서 그칠 수 없는 기본적인 규범 인식과 콘텐츠 검수 시스템의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며 “철저히 원인을 파악하고 책임도 반드시 묻겠다”고 했다. MBC는 올림픽이 끝나는 대로 진상조사위원회 등을 구성해 본격적인 조사에 착수할 방침이다.
재발 방지 대책 마련도 약속했다. 방송강령과 사규, 내부심의규정을 강화하고 윤리위원회와 콘텐츠 적정성 심사 시스템도 만들 계획이다. 박 사장은 “스포츠뿐 아니라 모든 콘텐츠를 제작할 때 인류 보편적 가치와 문화적 다양성을 존중하고 인권과 성평등 인식을 중요시하는 제작 규범이 체화될 수 있도록 전사적인 의식 개선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MBC는 지난 23일 도쿄올림픽 개회식을 중계하면서 올림픽 참가국 선수단을 소개할 때 부적절한 사진과 문구를 내보내 국제적인 물의를 빚었다. 우크라이나 선수단이 입장할 때는 ‘세계 최악의 참사’로 꼽히는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사진을 사용했고 아이티 선수단을 소개할 때는 “대통령 암살로 정국은 안갯속”이라는 자막을 올렸다. 마셜제도는 “한때 미국의 핵 실험장”이라고 소개했다.
MBC는 개회식 중계방송 말미에 “해당 국가 국민과 시청자 여러분께 정중히 사과드린다”고 밝혔지만, CNN 등 해외 유력 언론에 보도되면서 국제적 망신을 샀다. CNN은 “TV 시청자들은 그간 잘 알지 못했던 나라와 선수들을 개회식 방송을 보며 배우기도 한다. 하지만 한국의 한 방송국(MBC)은 그 지식의 격차를 메우려다 크게 실패했다”면서 “몇몇 국가를 묘사하며 모욕적인 편견을 동원했다”고 보도했다.
MBC는 24일 재차 입장문을 내고 “변명의 여지가 없는 잘못”이라고 사과했다. 하지만 25일 한국과 루마니아의 올림픽 남자 축구 경기를 중계하면서 마리우스 마린 선수가 자책골을 넣자 ‘“고마워요 마린” 자책골’이라는 자막을 송출했다. 루마니아축구협회는 공식 SNS 계정을 통해 “마린의 부끄러운 순간을 조롱했다”고 비판했다.
허경구 기자 nin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