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가 22일부터 2주간 청해부대 집단감염 사태에 대한 전방위 감사에 돌입했다. 감사 결과에 따라 문제가 드러난 지휘관과 당국자에 대해 강도 높은 문책이 예상된다. 이날 청해부대에선 귀국 후 검사에서 음성 판정을 받은 뒤 격리 중이던 병사가 추가 확진 판정을 받으면서 누적 감염자가 271명으로 늘었다.
감사에는 인력 10여명이 투입된다. 감사 대상에는 청해부대 작전지휘와 관리책임을 맡는 합동참모본부를 비롯해 국방부 관련 부서, 해군본부, 국군의무사령부 등이 포함됐다. 국방부는 청해부대 장병들이 격리·치료 중인 점을 고려해 시간을 두고 비대면 설문조사를 한다는 계획이다. 우선 다음 달 6일까지 감사를 진행할 방침이지만 국민적 관심이 큰 만큼 기간 연장도 고려 중이다.
군 당국은 이번 감사를 통해 파병 준비단계부터 증상자 발생 이후 대응 과정과 지휘보고 체계, 코로나19 방역 운영 전반을 들여다볼 예정이다. 문무대왕함 지휘부의 초기 대응을 비롯한 의사결정 과정, 감염 의심 장병들에게 해열제만 처방한 경위도 낱낱이 밝혀져야 할 부분이다.
합참의장을 비롯한 군 수뇌부가 유증상자 100여명이 발생할 때까지 상황을 인지하지 못한 점도 규명이 필요하다. 코로나19 바이러스 최초 유입 경로는 현재까지 기항지의 군수품 적재 과정이 유력한 것으로 보이지만 일각에서 제기된 일부 승조원의 무단이탈 의혹도 해소 대상이다.
국방부는 감염병 대응지침이 담긴 ‘파병부대 위기관리 매뉴얼’이 있었음에도 지켜지지 않은 이유를 살펴볼 예정이다. 군이 외부에 밝히지 않았지만 감염병 초기 판단 기준이 될 ‘감기증상환자 대처방안’ 등도 감사 결과와 함께 드러날 것으로 예상된다.
야당은 대통령의 사과와 군 수뇌부 경질, 국정조사를 요구하고 있다. 앞서 군 당국은 집단감염 사실이 알려진 이후 질병관리청과의 진실 공방 과정에서 책임을 회피하는 듯한 모습을 보였고, 청해부대 백신 접종에도 소홀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김성훈 기자 hunh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