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부대원의 90%가 코로나19에 걸린 청해부대 집단감염 사태는 납득할 수 없는 부분이 한둘이 아니다. 감염경로부터 이후 대처, 백신 공급 문제 등 뭐가 문제였는지 철저히 실체적 진실을 파악하고 다시는 같은 상황이 반복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국방부 감사에 주목한다.
국방부는 22일 파병 준비단계의 계획 수립 및 과정에 대한 전반적인 사항, 작전상황 아래 코로나19 발생 초기대응의 적절성 여부, 코로나19 방역 관련 운영 전반에 대한 조사 등에 중점을 둬 감사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우선 감염경로부터 따져야 한다. 34진 문무대왕함은 지난달 28일부터 지난 1일까지 3박4일간 군수품 적재를 위해 아프리카 해역 인접국에 기항했을 때 10여명이 육상에서 보급품 접수와 방역 작업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군 당국은 다른 장병은 하선하지 않고 함정에 체류했다고 밝혔지만, 일각에선 기항 기간 일부 승조원의 함정 무단이탈 주장도 제기되는 만큼 철저히 조사해야 한다. 파병 이후 부대 운영과 방역 지침 이행, 상황 발생 시 합참과 국방부 등 관련 기관의 초기 대응 등이 적절했는지도 따져봐야 할 것이다. 특히 첫 의심 환자가 발생했을 때 왜 간단한 감기약만 처방했는지도 규명해야 한다. 아울러 장병들에 대한 백신 미접종, 지난 2월 8일 출항 후 5개월여간 백신 접종 계획 미수립, 유엔과 미국 등 주변국 미협조 등에 대해서도 감사가 진행돼야 한다.
일각에서는 외부기관이나 감염병 전문가 등이 포함되지 않고 백신 미접종이 불가피했다고 주장하는 국방부가 감사 주체가 된 것에 대해 ‘면피용 셀프감사’라는 지적도 있다. 국방부는 이런 지적을 감안, 형식적이거나 봐주기 감사를 해선 안 될 것이다. 만약 감사가 미흡하다면 국민적 지탄은 물론 추가적인 재조사 등이 불가피하게 이뤄질 수 있다는 사실도 명심해야 한다.
국방부는 철저한 감사를 통해 관련 지침 등에 미흡한 점이 없었는지 살펴보고 제도개선에 나서야 한다. 또 감사 결과에 따라 책임자에 대해서는 엄정히 문책을 해야 할 것이다.
[사설] 청해부대 90% 집단감염, 철저히 감사하고 문책하라
입력 2021-07-23 0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