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수 경남도지사가 21일 ‘드루킹 댓글 조작’사건 대법원 판결로 유죄가 확정되면서 그동안 경남도가 의욕적으로 추진해 온 도정 현안들이 힘을 받기 어려울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문재인 대통령의 복심으로 불렸던 김 지사가 주도한 ‘부울경(부산 울산 경남) 메가시티’는 구심점을 잃게 돼 추진력을 상실하는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김 지사는 부·울·경 메가시티 추진을 위해 부산·울산·경남을 묶은 특별지방자치단체인 ‘부울경 광역특별연합’구성을 주도했고, 부울경 행정통합까지 추진한다는 구상이었다.
지난 3년간 김 지사가 추진해 온 경남청년특별도, 교육인재특별도 등 핵심과제도 동력이 약화할 것이란 전망이다. 또 제1호 공약이었던 남부내륙고속철도(일명 서부경남KTX), 스마트 그린산단, 진해신항 등 대형 국책사업 추진에도 먹구름이 끼었다.
김 지사는 법원 선고 후 도청을 떠나면서 “저의 결백과 진실을 밝히기 위한 노력은 여기서 멈추지만 무엇이 진실인지, 그 최종적인 판단은 이제 국민 몫으로 남겨드려야 할 것 같다”면서 “지난 3년간 도정을 적극 도와준 도민께 진심으로 송구하다 감사하다”고 밝혔다. 이어 “진실은 아무리 멀리 던져도 제자리로 돌아온다는 믿음을 끝까지 놓지 않겠다. 고맙다”며 눈시울을 붉혔다.
경남도는 또다시 권한대행 체제로 전환돼 혼란 수습에 나서고 있다. 지방자치 출범 이후 경남에서는 벌써 5번째 권한대행 체제다.
2013년 김혁규 전 지사가 한나라당 탈당과 함께 지사직을 중도사퇴했고, 2012년에도 김두관 전 지사가 대권 도전을 위해 직을 내려놨다. 2017년에는 홍준표 전 지사가 대선 출마를 위해 사퇴하면서 무려 14개월 동안 권한대행 체제가 이어졌다. 지난 2019년 1월 김 지사의 1심 선고 때 법정 구속으로 70여일 동안 권한대행 체제를 겪었다.
경남도는 침통한 분위기다. 1심과 2심 때도 유죄가 나왔지만, 최종심 결과가 나온 만큼 직원들은 충격에 빠졌다. 향후 도정 운영에도 큰 변화가 있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직원들은 부울경 메가시티, 가덕도 신공항, 서부권 공공의료원 설립 등 굵직한 현안사업의 추진동력이 떨어지지 않을까 우려했다. A 직원은 “지사 공석 이후 도정차질이 없기만을 바랄 뿐”이라고 말했다.
경남도청공무원노조는 “법원의 판단을 존중한다. 지사의 유죄 확정으로 또다시 권한대행 체제로 전환하게 된 점이 매우 안타깝고 유감스럽다”면서 “그동안 추진되던 각종 도정 정책들이 차질없도록 공직자들은 더욱 업무에 매진해야 할 때라고 본다”는 입장을 냈다.
더불어민주당 김두관 대선 후보와 김 지사 지지자들은 도청 앞에서 ‘김경수는 무죄이다’ 등의 피켓을 들고 응원했다. 김 지사가 도청을 떠날 때 “김경수 화이팅, 힘내세요” 등을 외치며 울먹이는 지지자들도 있었다.
한편 하병필 도지사 권한대행은 긴급 간부회의를 소집해 향후 도정 운영 방향 등을 논의했다.
창원=이영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