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대통령 “한·일 정상회담 성사 위한 실무협상 지속하라”

입력 2021-07-21 04:06

문재인(사진) 대통령이 도쿄올림픽 기간 일본 방문 무산에 아쉬움을 표하며 임기 내 한·일 정상회담 성사를 위한 양국 실무협상을 지속해 달라고 주문했다.

박수현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20일 라디오 인터뷰에서 “문 대통령이 전날 참모회의에서 방일이 무산된 것에 대해 진심으로 아쉽다는 표현을 썼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문 대통령은 한·일 정상이 언제든 만나길 바란다고 밝혔다. 양국 실무 협상을 계속 ‘해나가자’는 표현이 아니라 ‘해나가라’고 강력하게 의지를 담은 말씀을 했다”고 전했다.

박 수석은 “일본은 우리의 이웃”이라며 “의제에 대한 상당한 성과가 진척된 상황이라 실무협의에서 출발해 외교장관 회담 등을 이어간다면 양국 간 좋은 결과가 있지 않겠나”라고 전망했다. 이어 “한·일 외교장관 회담은 8월로 예정된 것으로 안다”고 덧붙였다.

청와대는 한·일 실무협상 과정에서 양국이 접점을 찾았던 쟁점 현안을 구체적으로 밝히진 않았다. 대신 위안부·강제징용 판결을 포함한 과거사 문제, 대한(對韓) 수출규제와 후쿠시마원전 오염수 배출 등을 양국 현안으로 열거했다. 해당 분야에 대한 상당 수준의 합의가 이뤄졌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박 수석은 “양국 간 현안을 두고 막판까지 합의에 접근했지만 성과로 발표하기에는 약간 부족했다”며 “국민이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는 변수가 막판에 생겼다. 국민 정서를 무시할 수 없었던 것도 작용했다”고 방일 무산 배경을 설명했다. 막판 변수는 소마 히로히사 주한 일본대사관 총괄공사의 성적 발언을 뜻한다.

청와대는 일본 측도 정상회담 재추진 의지가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스가 요시히데 총리는 전날 문 대통령의 방일이 무산된 후 기자들과 만나 “일·한 관계를 건전한 관계로 되돌리기 위해 우리나라(일본)의 일관된 입장을 토대로 한국 측과 의사소통을 하고 싶다”고 했다.

박 수석은 “한국과 일본 모두 만남에 대한 의지가 강하기 때문에 문 대통령 임기 안에 양국 정상이 회담을 할 수 있는 계기가 만들어지길 소망하고 있다”고 했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