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문하면 바로 배송해주는 ‘퀵커머스’ 시장에 불이 붙었다. 쿠팡이츠가 뛰어들면서다. 배달업계뿐 아니라 백화점, 편의점 업계, 이커머스 업체들도 동참하고 있다. 이커머스 시장과 마찬가지로 시장 선점을 위한 ‘속도 경쟁’이 본격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18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쿠팡, 현대백화점그룹, GS리테일, BGF리테일 등 주요 유통기업들이 퀵커머스 시장에 가세했다. 퀵커머스는 신선·가공식품이나 생활용품 등의 주문이 들어오면 짧게는 10분 안팎, 길어도 1시간 이내에 빠르게 배달해주는 방식의 유통 형태를 말한다. 새벽배송, 당일배송보다 ‘더 빠르게’ 문 앞으로 가져다주는 서비스다.
퀵커머스 시장은 배달의민족이 2019년 11월 B마트를 론칭하며 문을 열었다. 요기요가 이듬해 9월 요마트로 합류했고, 코로나19로 편의점 업계까지 동참했으나 시장 성장세는 더딘 편이었다. 하지만 쿠팡의 가세가 본격 경쟁의 신호탄이 됐다.
현황은 이렇다. 쿠팡이츠가 ‘쿠팡이츠마트’라는 서비스를 최근 서울 송파구 일부 지역에서 시범 운영에 들어갔다. 쿠팡 자회사인 쿠팡이츠가 직매입으로 마트 상품을 구성해 쿠팡이츠 앱을 통해 판매하고 있다. 배민 B마트, 요기요 요마트와 마찬가지로 자체 운영하는 소규모 물류센터에서 자체 배달 네트워크를 활용해 배달한다. ‘물류센터→(주문자) 집 앞’의 배달 시스템이다.
쿠팡이츠는 구체적인 계획을 공개하지 않고 있으나 송파구에서 시범운영한 뒤 다른 지역으로 확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쿠팡이츠는 최소주문금액이 없다. 후발주자지만 가격 경쟁력을 앞세운 상황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쿠팡이츠가 자본력을 토대로 ‘무료 배달’과 같은 물량 공세를 한다면 다른 업체들은 버텨내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백화점은 업계 최초로 콜드체인 시스템을 갖춘 전기트럭을 물류센터로 활용해 퀵커머스 시장에 도전한다. 현대차그룹이 개발한 ‘이동형 마이크로 풀필먼트 센터’(MSC)를 활용해 현대백화점 식품관의 신선식품을 배달해주는 서비스를 이달 말부터 시범 운영한다. ‘이동형 물류센터→집 앞’ 방식이 새로 등장했다.
기존 유통업체들은 ‘점포→주문자 집 앞’의 형태로 운영된다. GS리테일은 편의점 GS25나 슈퍼마켓 GS더프레시에서 배달해주는 우딜 서비스를 지난달 론칭했다. 편의점 CU를 운영하는 BGF리테일은 배달 대행업체들과 카카오, 네이버, 페이코오더 등에 입점해있다. SSG닷컴은 당일배송 서비스를 확대하기 위해 이마트 성수점에서 쓱배송 주문 마감 시간을 6시간 더 늘렸다. 10월까지 20개 점포로 확장한다는 계획이다.
퀵커머스 시장 성장이 골목상권 침해로 이어질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쿠팡이츠마트나 B마트처럼 물류센터에서 제품이 배달되는 경우 소규모 동네 상권이 직격탄을 맞을 수 있다는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쿠팡이 퀵커머스 시장에서 또다시 물량공세로 나온다면 체력이 약한 동네 상권은 순식간에 무너질 수 있을 것”이라며 “업계도 예의주시하고 있으나 제도적인 접근도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
문수정 기자 thursda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