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코로나19에 폭염까지… 사회적 약자 위한 대책 시급하다

입력 2021-07-16 04:07
올여름 무더위 기세가 예사롭지 않다. 이번 주 들어 30도 넘는 무더위가 이어지는 가운데 어제는 전국에 폭염특보가 내려졌다. 올해의 경우 코로나19 4차 대유행의 와중에 기록적 폭염이 휩쓴 2018년 수준의 더위와 열돔현상까지 나타날 것으로 예보되면서 여름나기가 예년에 비해 훨씬 고통스러울 듯하다.

폭염은 재난이다. 늘 그랬듯 재난은 사회적 약자에게 더 가혹하다. 폭염은 심한 경우 목숨을 앗아갈 수 있음에도 아예 냉방장치가 없거나, 있어도 가동하기 어려운 에너지 빈곤층이 허다하다. 특히 올해는 코로나19 신규확진자 급증에 따른 거리두기 강화로 지방자치단체 및 공공기관이 여름철마다 한시적으로 마련했던 무더위 쉼터 운영이 사실상 불가능해 상황 변화에 맞는 선제적 대책 수립이 시급하다.

야외 노동은 무더위에 특히 취약하다. 최근 6년(2014~2019) 간 온열질환으로 재해를 입은 노동자가 158명에 이르고, 이 가운데 27명이 숨졌다. 이러한 후진국형 인재를 예방하려고 정부가 ‘야외 노동 폭염대책 가이드라인’을 만들었는데 현장에선 그림의 떡에 그치는 경우가 많다. ‘폭염특보 발령 시 노동자에게 한 시간 주기로 10~15분 규칙적인 휴식을 보장할 것’ 등 노동자의 당연한 권리를 보장한 가이드라인이 지켜지도록 관계당국의 철저한 관리 감독이 요구된다. 아울러 문재인 대통령이 지시한 선별진료소 폭염대책 또한 차질없이 이행돼야 한다.

더위가 맹위를 떨칠 때마다 우려되는 것이 전력 수급 상황이다. 무더위로 냉방장치 사용량이 급증하면서 전력예비율이 9%대로 떨어지는 상황이 반복되고 있다. 이번 주보다 더 더울 것으로 예보된 다음 주엔 전력예비율이 4%대까지 떨어질 수 있다는 비관적 전망도 나오고 있다. 물론 정부가 대규모 정전 상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철저히 대비해야겠지만 개인 또한 불필요한 에너지 사용을 자제하는 등 성숙한 시민의식으로 힘을 보태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