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형 공유어린이집 내달 선뵌다

입력 2021-07-15 04:06
오세훈 서울시장이 지난 3월 22일 오후 서울 서초4동주민센터에서 공유어린이집 관계자들과 간담회를 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오세훈 서울시장의 보육 공약인 ‘서울형 공유어린이집’이 8월 4개 자치구에서 첫 선을 보인다.

서울시는 14일 서울형 공유어린이집 사업에 참여할 4개 자치구를 모집한다고 밝혔다.

서울형 공유어린이집은 3~5개 국공립어린이집과 민간, 가정 어린이집을 하나로 묶은 뒤 영·유아, 영아 전담, 유아 전담 등으로 나눠 아이들을 함께 키우는 보육시스템이다. 서초구의 대표 보육정책으로 오 시장은 이를 서울시 전체로 확대하겠다고 지난 보궐선거에서 공약했다.

서울시는 오는 8월 2~6일 자치구 신청을 받고, 심사를 거쳐 8월 중 사업을 시작할 예정이다. 선정된 자치구별로 각 10곳씩 총 40곳을 운영한다. 자치구는 참여할 어린이집 10곳을 2~3개 권역(권역별 3~5개 어린이집)별로 사전에 구성·선정해야 한다. 각 어린이집은 도보 이용권에 있어야 하며, 권역별로 국공립과 민간·가정 어린이집을 최소 1곳씩 포함해야 한다.

서울시는 권역별로 각종 프로그램을 공유해 돌봄 수준을 전반적으로 높이고, 어린이집들이 원아를 공동 모집해 부모의 자발적인 어린이집 선택 폭을 넓힐 수 있다고 기대한다. 공유 프로그램은 어린이집 보육 교직원과 부모가 모여 기획하고, 서울시육아종합지원센터가 각종 상담 서비스로 뒷받침한다.

서울시는 공유형 어린이집 조기 정착과 참여 활성화를 위한 지원도 한다. 참여 어린이집에 보조교사 1명, 교사 및 원장 활동 수당(월5만~10만원), 권역별 운영협의회 운영비 월10만원, 권역별 공유 프로그램 운영비 500만원, 자치구별 공유·협업 지원 전담요원 1명을 지원한다.

서울시는 올해 사업의 성과와 효과를 분석·보완해, 내년에는 25개 전 자치구로 대상을 확대할 계획이다. 강희은 서울시 보육담당관은 “서울형 공유어린이집은 어린이집들이 자원을 공유하고 협력하는 것만으로도 보육서비스가 올라간다는 것을 보여줄 것”이라며 “저출생과 원아감소라는 환경변화 속에서 어린이집의 운영애로 해소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권중혁 기자 gree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