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을 잘 아는 지방정부의 역할이 가장 중요합니다.”
권영진(사진) 대구시장은 13일 기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묻는 질문에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을 강조했다.
탄소중립을 실현하기 위해 에너지 믹스 설계, 산업구조 개편, 대규모 연구개발사업 등 국가가 주도해야 할 영역이 있지만 국민의 일상과 경제 활동의 기본 공간은 지역이고 이곳에서 변화가 시작돼야 한다는 것이 권 시장의 생각이다.
그는 “유엔기후변화협약의 레이스 투 제로 캠페인 참여나 탈석탄 동맹과 같은 국제교류와 협력도 각국의 지방정부를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다”며 “대구시를 시·도 대표로 하는 ‘탄소중립 지방정부 실천연대’도 지방정부 주도의 탄소중립 활동”이라고 말했다. 이어 “연방정부와 차별화된 지방정부 주도 비전 설계를 통해 ‘세계 환경 수도’로 인정받게 된 독일 프라이부르크의 사례는 지자체가 탄소중립을 설계하고 실행하는 중심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고 덧붙였다.
권 시장은 모든 시민이 참여하는 탄소중립을 꿈꾸고 있다. 이를 위해 지난달 대구 탄소중립 시민협의체를 발족하기도 했다. 그는 “탄소중립 시민협의체는 시민 의견 수렴과 탄소중립 공감대 형성의 통로가 될 것”이라며 “시민협의체 구성원으로만 한정하지 않고 더 많은 시민의 의견을 들을 수 있는 확장된 시민거버넌스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대구시는 이를 위해 시민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대구시 홈페이지에서 바로 연결되는 탄소중립 관련 앱을 조만간 개통한다. 또 저탄소생활 실천 아파트 경진대회 등 다양한 시민 실천 활동을 마련할 예정이다.
올해 탄소중립 지방정부 실천연대 대표로 재선임 된 권 시장은 전국 지자체들과 힘을 모아 탄소중립 분위기 조성에 나설 방침이다.
그는 “지난해 7월 탄소중립 용어조차 생소한 상황에서 전국 81개 지방정부가 연대해 국가보다 앞서 ‘2050 탄소중립’을 선언하고 실천연대를 발족했다”며 “그동안 전체 243개 지자체의 86%인 208개 지자체가 참여하는 범지자체 협의체로 확대됐고 탄소중립 법제화, 실천연대 공통사업 국비 지원 등을 정부에 건의했다”고 설명했다.
대구=최일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