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쿄올림픽 기간 문재인 대통령의 방일 논의가 급물살을 타고 있다. 한·일 외교라인이 정상회담 개최의 필요성에 공감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문 대통령의 일본 방문 가능성이 높아졌다. 다만 양국이 회담 시간과 의제, 형식 등을 두고 여전히 이견을 보이고 있어 향후 일본 정부의 협상 태도에 따라 문 대통령의 방일 여부가 최종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11일 청와대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최근 한·일 정상회담 개최 의사를 한국에 전달해왔다. 우리 정부가 위안부·강제징용 등 과거사 문제 해법을 내놓아야 회담이 가능하다는 입장을 고수하던 일본이 한발 물러선 것이다. 올림픽이 불과 10여일 앞으로 다가오면서 위기감을 느낀 것으로 보인다. 회담이 성사되면 1년7개월 만에 열리는 한·일 정상회담이 된다.
다만 한·일 회담은 짧게 진행될 것으로 전망된다.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은 한국 정부가 과거사 해법을 제시하지 않는다면 일본은 회담을 짧게 하려는 태세라고 전했다. 교도통신은 문 대통령과 스가 요시히데 총리의 만남이 “15분 정도가 될지 모른다”는 일본 소식통 발언을 소개했다. 한국은 1시간 정도의 회담을 원하고 있으나 일본은 단시간 회담으로 끝낼 구상이라는 것이다.
청와대는 회담 자체보다 회담을 통한 양국 관계 회복이라는 성과에 방점을 두고 있다. 박수현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페이스북에 “한·일 샅바 싸움은 씨름을 하기 위한 것이다. 씨름을 하지 않으려고 하는 샅바 싸움은 없다”고 남겼다. 과거사와 후쿠시마 오염수, 수출규제 문제 등 양국 간 현안을 바로 해결할 순 없지만 향후 논의가 가능하도록 이번 회담에서 양국 관계 개선의 모멘텀을 형성해야 한다는 뜻이라고 한다.
청와대 일각에선 일본이 한·일 관계 회복의 노력 없이 정상 간 짧은 만남만 주선한다면 방일을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는 강경론도 제기된다. 외교부 당국자도 “양국 간 협의가 일방적으로 일본 언론에 유출되고 있는 상황에선 협의가 지속되기 어렵다. 일본이 신중히 대응할 것을 촉구한다”고 경고했다.
박세환 황윤태 김영선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