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단계 벗어나려면… 확진자 수보다 감염재생산지수 먼저 고려

입력 2021-07-10 04:03
연합뉴스

우여곡절 끝에 거리두기가 4단계로 상향됐지만 전문가 사이에선 향후 단계 완화 여부를 결정할 때 고민이 더 클 것이란 우려가 나왔다.

개편 거리두기 체계상 단계 조정의 핵심 지표는 인구 대비 1주일 하루 평균 확진자 수다. 서울의 경우, 직전 1주일의 하루 평균 확진자가 389명을 넘는 현상이 사흘 이상 이어지면 4단계 범위에 해당한다. 수도권 전체로 넓히면 기준점은 1000명이다. 산술적으로는 확진자 규모가 이 아래로 떨어질 때 단계 하향을 검토할 수 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이 기준을 그대로 적용할 수 없다고 입을 모은다. 단계 상향 결정 자체가 확진자 수 대신 확산세에 초점을 맞춰 선제적으로 나왔기 때문이다. 실제 이날 기준 최근 1주일의 하루 평균 수도권 확진자는 910명으로 1000명에 미치지 않았다.

완화를 결정할 때 고려할 변수로는 감염재생산지수가 첫손에 꼽힌다. 정도를 두곤 견해가 갈리지만, 1.3을 넘는 현재 수준보다 낮아져야 한다는 데는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다. 이재갑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어떻게 해서든 2주 안에 (확산 속도의) 피크를 꺾는 게 목표”라고 강조했다.

중환자 수의 추이도 눈여겨봐야 할 지표다. 급격히 늘어난 확진자들이 시차를 두고 중환자로 발전해 의료체계를 붕괴시키는 것이 ‘최악의 시나리오’이기 때문이다. 정재훈 가천대 의대 예방의학교실 교수는 “2주 뒤에도 중환자가 급증하지 않는다거나, 확진자 수가 지금 수준으로 유지된다면 4단계가 효과를 발휘한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관찰 기간이 충분치 않다는 점은 불안 요소다. 4단계가 만료될 25일 이전에 위험도를 평가해 향후 방역 수위를 결정해야 하는데, 판단에 소요되는 기간을 제외하면 실질적으로 주어진 시간이 열흘 남짓이기 때문이다.

최대 관건은 고갈돼가는 국민의 인내심이다. 자영업·소상공인 손실보상법이 지난 7일이 공포됐지만, 보상이 시작되려면 아직 3개월가량 남았다. 자칫 방역 순응도가 떨어지면 4단계 효과가 반감되는 악순환이 벌어질 수도 있다. 정 교수는 “2주 뒤의 구체적인 목표점, 목표를 달성하지 못했을 때의 대안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송경모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