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확산세가 비상 상황에 이르자 정부가 9일 가장 강력한 수단을 꺼내들었다. 새로운 사회적 거리두기의 최고 수준인 4단계다. 12일부터 2주간 수도권에서는 오후 6시 이후 2명까지만 모일 수 있다. 사실상의 야간 통행금지 조치다. 집회·행사가 전면 금지되고 학교와 교회는 다시 문을 닫는다. 장기화될 경우 일상의 불편함을 넘어 자영업자 매출 타격, 경기 침체 등 사회 전반에 큰 파장을 불러올 것으로 보인다.
9일 0시 기준 하루 신규 확진자 수는 1316명이다. 지난해 초 코로나 바이러스가 국내 상륙한 후 가장 많은 숫자다. 사흘 연속 1200명을 넘은 것도 처음이다. 이게 정점이 아니라 4차 대유행의 시작이라는 점은 더 우려스럽다. 방역 당국은 이달 말 2000명이 넘을 수도 있다고 예상했다.
상황이 이 지경에 이른 것은 일차적으로 정부의 안일한 인식과 판단 착오 때문이다. 방역 조치가 순조롭게 진행 중이니 백신 접종자에게 인센티브를 주고 거리두기를 완화하겠다고 예고한 것이 결과적으로 긴장을 풀게 하는 독이 됐다. 청와대는 방역기획관까지 신설했지만 제대로 역할을 하지 못했다. 전문가들이 그동안 조속한 백신 확보의 필요성과 대유행 가능성을 경고해왔지만 무위에 그쳤다. 정부가 관련자 문책 등 책임지는 자세를 보여야 국민에게도 희생을 요구하고 설득할 수 있지 않겠는가.
전파력이 강하고 역학 추적도 어려운 델타 변이 바이러스가 빠르게 확산중이다. 20~30대 젊은 층의 확진 비율도 급증하고 있다. 이들은 대부분 백신을 맞지 않았으며 접종 순서도 뒤로 밀려나 있다. 젊은 층은 가볍게 앓고 지나가는 경우가 많다지만 문제는 60~74세 어르신이다. 이들 중 순서가 왔는데도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에 대한 불신으로 접종을 하지 않은 경우가 200만명이 넘는다. 이들이 델타 변이에 감염될 경우 치명률이 클 수 있다. 후순위로 밀린 미접종 고령층의 접종을 서두를 필요가 있다.
비수도권에서 환자가 늘고 있는 것도 우려되는 대목이다. 이날 비수도권 확진자 비율은 22.1%나 된다. 한동안 10%를 오갔던 비율이 20%를 넘었다는 것은 이미 전파가 상당 부분 진행되고 있다는 신호다. 비수도권까지 대유행에 휩싸이게 되면 걷잡을 수 없는 상황이 된다. 수도권 주민들뿐 아니라 전 국민이 힘을 모아 이 고비를 넘겨야 한다. 개개인이 방역의 최전선에 섰다는 심정으로 다시 한번 비장한 각오를 다져야 할 때이다.
[사설] 수도권 4단계 격상, 전국 확산만은 막아야
입력 2021-07-10 04:01 수정 2021-07-10 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