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하루 신규 확진자가 연일 1200명대를 기록했다. 급기야 8일 0시 기준으로 코로나 사태 이후 하루 최다인 1275명의 확진자가 나왔다.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상황 악화 시 이달 말에는 확진자가 2100명대까지 늘 수 있다고 전망했다. 4차 대유행에 확실히 진입한 것이다. 상황이 이 지경이 되도록 당국은 뭘 하고 있었는지 따지지 않을 수 없다. 그동안 청와대와 정부는 감염 확산세가 좀 꺾였다 싶으면 앞장서서 방역 고삐를 풀어 사태를 악화시키는 일을 반복해 왔다. 지난해 8월 소비 쿠폰 등 경기진작책을 편 뒤 2차 대유행이 시작됐고, 11월에 방역 조치를 완화하자 12월에 3차 대유행이 왔었다. 그때그때마다 ‘터널 끝이 보인다’ 등의 문재인 대통령 발언도 긴장 이완을 부채질했다. 이번도 마찬가지다. 확진자 수가 좀 줄어들자 정부는 지난달에 소비 활성화 대책과 새로운 거리두기 개편안을 내놨다. 대통령도 지난달 28일 “소비 쿠폰 등을 통한 전방위적 내수 보강 대책을 세우라”고 지시했었다.
전문가들은 그동안 델타 변이 바이러스 확산세가 심상치 않으니 방역에 고삐를 당겨야 한다고 경고해 왔다. 하지만 청와대와 정부는 변이 바이러스에 대한 느슨한 대응과 섣부른 거리두기 완화책으로 역주행을 한 셈이 됐다. 지난 주말 서울 한복판에서 열린 민주노총의 대규모 집회도 말로만 ‘엄정 대응’ 운운했을 뿐 결국 집회는 강행됐다. 당국의 자세부터 이리 허술하니 불과 며칠 전까지 국민들이 미뤘던 만남을 갖기 위해 약속 잡기에 바빴고, 젊은층을 중심으로 심야 술판도 많아졌을 것이다. 청와대가 3개월 전 없던 자리인 방역기획관까지 만들어 방역에 만전을 기하겠다더니 왜 이런 상황이 초래됐는지 이해할 수 없다. 당초 “백신은 급하지 않다”는 식의 안이한 인식을 가진 사람을 기획관에 앉히면 안 된다는 지적이 많았는데 우려했던 대로 제 역할을 하지 못한 셈이 됐다. 어떻게 하다 이번에 방역에 구멍이 뚫리게 됐는지 철저한 진상규명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당국만 믿기엔 현 상황은 너무나 엄중하다. 4차 대유행 상황인 만큼 국민 스스로 방역에 대한 긴장감을 높일 때다. 다중이 모이는 곳을 피하는 것은 물론, 만남 자체를 자제할 필요가 있다. 마스크 쓰기 등 개인 위생에도 더 신경써야 한다. 자영업자 등도 지금 확산세를 잡지 못하면 더 큰 피해를 당할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 영업시간 단축, 인원수 제한 등을 반드시 준수해야 한다. 내 가족과 이웃을 지킨다는 생각으로 당분간 온 국민이 ‘긴급 멈춤’을 할 때다.
[사설] 방역기획관 만들고도 대응 실패한 靑…‘긴급 멈춤’ 절실
입력 2021-07-09 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