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 일터·일감·삶터로 2030년 인구 130만명 달성한다

입력 2021-07-09 04:03
울산광역시청. 뉴시스

울산시가 인구감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자리 창출과 신도심 조성 등의 대책을 쏟아내고 있다.

울산시는 8일 시청에서 송철호 시장 주재로 인구대책 특별회의를 열었다. 울산은 17개 시·도 가운데 인구감소율이 가장 가파르다. 2015년 117만3534명의 인구를 자랑했던 울산은 2021년 6월말 현재 112만6369명으로 4만7165명이 줄어들었다. 110만명 붕괴를 걱정할 처지에 놓인 것이다.

가장 큰 원인은 조선업 경기불황 이후 직업 주택 교육 등을 이유로 울산을 빠져나가는 인구가 크게 늘어난 것이다. 15~34세 청년세대의 유출이 크다. 반면 울산의 고령화 속도는 전국에서 가장 빠르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울산 인구의 평균 연령은 41.9세로 통계 집계가 시작된 2008년 말과 비교하면 13년만에 7.2세 높아졌다.

울산시는 지역 인구감소의 주된 원인인 주력산업 쇠퇴와 타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한 정주여건으로 보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양질의 일터와 일감을 새로 만들고, 시민들이 울산을 살기 좋은 곳으로 여길 ‘삶터’를 가꾼다는 방침이다.

시는 새로운 일감으로 부유식 해상풍력, 수소경제, 동북아 오일·가스 허브, 원전해체 등의 4대 에너지사업 등 9개 성장다리사업을 추진해 2030년까지 인구 130만명 달성을 목표로 60만개 일자리를 창출한다.

‘행복한 삶터’를 위해 선바위 지구, 울주군청 주변 행정복합타운, KTX역세권 등에 2030년까지 6만8000호 16만명이 거주할 미래형 신도심을 조성한다. 신혼부부 주거비 지원사업도 확대하고, 트램 도입과 외곽순환도로 건설, 울산권 광역철도 건설 등 교통 인프라를 확충해 편리한 정주환경을 조성한다.

수도권으로의 인재 유출 방지와 4차 산업혁명 시대 대응을 위해 대학 유치와 지역 맞춤형 인재 육성사업을 강화한다.

송철호 시장은 “울산시는 광역시 승격을 통해 눈부신 성장을 거듭해 왔으나, 이제 인구 감소로 광역시 존립이 위태로운 현실이다”며 “지속가능한 도시 발전을 위해 인구 회복에 전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울산=조원일 기자 wcho@kmib.co.kr